최명희문학관, ‘혼불 완독지기’ 13명 배출

최명희문학관과 혼불기념사업회는 ‘소살소살 혼불 톺아보기∥’를 통해 <혼불> 10권 읽기에 성공한 13명의 ‘혼불완독지기’가 탄생했다고 9일 밝혔다. 사진제공=최명희문학관

“최명희 작가의 소설 <혼불> 10권 완독했습니다. 우리 마음을 간절하고 환하게 울린 벅찬 감동의 시간이었습니다.”

최명희문학관과 혼불기념사업회는 ‘소살소살 혼불 톺아보기∥’를 통해 <혼불> 10권 읽기에 성공한 13명의 ‘혼불 완독지기’가 탄생했다고 9일 밝혔다.

올해 행사 참가자는 모두 34명이었으며 이 중 13명의 독자가 정해진 기간 내에 10권을 모두 읽어 혼불 완독증을 받았다. 

이들은 3월 2일부터 7월 6일까지 각 권의 특징을 주제로 이진숙 수필가의 강연을 듣고 감상을 나눴으며 꽃갈피 만들기, 편지 쓰기, <혼불> 속 화가투놀이, 전주문학기행 등 11회의 강의와 체험 행사를 함께하며 서로를 격려했다.

수강생 문선아 씨는 “책을 읽고 수강생들과 이야기를 나누면서 감동도 많이 받았고 혼불이 인생의 동반자가 돼 있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수강생 홍성수 씨는 “혼불은 읽으면 읽을수록 더 많은 공부를 하고 싶게 만든 책”이라면서 “4개월 동안 같은 책을 읽고 이야기를 나누면서 많이 배웠고 귀한 생각을 공유할 수 있어 영광”이라고 말했다.

이수민 최명희문학관 학예사는 “수강생들은 매시간 간절한 소망, 부모님에 대한 그리움, 삶에 대한 깨달음, 생생한 인물들, 아름다운 문장, 한국 여성의 삶 등 다양한 화두로 생각을 나누면서 책에 밑줄을 그었다”고 말했다.

혼불의 완독을 돕기 위해 해마다 진행하는 이 행사는 올해까지 15년 동안 440여 명의 혼불 완독자를 배출했다.

소설 <혼불>은 1930년대 전라도 남원·전주와 만주를 배경으로 국권을 잃었지만 여전히 조선말의 정신구조와 문화를 지탱하던 이중적인 시대에 처참하게 부서지고 고뇌하며 한없이 몸부림치는 사람들의 삶을 그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