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덥고 습한 여름철 날씨를 확 날려줄 부채 감상하고 가세요!"
전주는 예로부터 다양한 부채가 생산되고 걸출한 명장이 배출된 고장이다.
또한 풍류가 있는 고장으로 전주 부채는 여름철 빼놓을 수 없는 특산품이자 작가들의 작품이 많았다.
최근 전주지역에서는 특색 있는 부채 전시회가 곳곳에서 열리고 있다.
전주부채문화관(관장 이향미)은 18일까지 전주부채문화관 지선실에서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0호 선자장 방화선과 제자들의 초대전 ‘바람의 전설 후예들’을 진행하고 있다.
이번 전시는 전라북도 무형문화재 제10호 방화선 선자장과 함께 단선 부채의 맥을 이어가는 구순주, 김강춘, 박삼희, 박수정, 배순향, 송서희, 심성희, 이미경, 이정옥, 장선희, 정경희의 창작 단선 부채 작품 40여 점을 감상할 수 있다.
방화선 선자장이 만든 부채 동아리 ‘나린선’은 2017년 창립전을 시작으로 꾸준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전통 단선 부채에 한지 문양파기, 한국화 채색 기법, 문양 찍기, 색동조각을 활용한 콜라주 등 작가 개개인의 개성이 담긴 현대적인 작품을 선보인다. 단선 부채의 매력은 작가가 선호하는 모양으로 외곽의 모양이나 부채 자루의 변화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작가들은 부채를 제작하는 전통적인 방식을 버리지 않고 그 위에 현대적인 이미지나 조형성을 담았다.
방화선 선자장은 고(故) 방춘근 선자장의 장녀로 유년 시절부터 100년 동안 가내수공업으로 이어져 온 단선 부채를 제작하면서 계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는 매 전시 때마다 감각적인 단선 부채를 선보이며, 현재 자신의 창작활동과 더불어 ‘나린선’ 부채 동아리를 통해 제자 육성에 힘을 쏟고 있다.
청목갤러리는 11일부터 16일까지 '전주는 풍류다(風流多)' 기획·교류전을 개최한다.
이번 전시는 한국미술협회 전주지부(지부장 정인수) 회원들을 주축으로 서울, 경기, 충남, 강원, 대구, 전남 등 전국의 작가들을 초대했다.
지난해 청목갤러리에서 열린 '전주는 풍류다'에 이은 두 번째 부채 전시다.
전시 작가는 총 91명의 작가가 참여하는데 개인당 1점씩 출품해 총 91점으로 구성됐다.
전주미술협회 관계자는 "전주 한지로 제작된 아름다운 부채 위에 작가들의 멋을 다양한 화폭으로 담아내 생활 속 예술의 향연을 선사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