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기업 40% 시대" 도내 여성기업 '꽉꽉' 속은 '텅텅'

도내 여성기업, 지난 2020년 전체 기업 40% 넘어서
여성기업 양적 성장 눈에 띄지만 질적 성장은 글쎄
중기부, 지자체 지원사업 추진하지만 효과는 미비
표면적으로 보이는 문제보다 약점 고려한 지원 필요

사진=클립아트코리아

도내 여성기업이 지난 2020년 전체 기업의 40%를 넘어서며 전북도 여성기업 40% 시대가 열렸다. 여성기업 수는 눈에 띄게 늘었지만 대규모 기업보다 소규모 기업을 중심으로 증가해 양적 성장보다 질적 성장에 집중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도내 여성기업(사업체) 수는 2016년 5만 7676곳, 2017년 5만 8837곳, 2018년 6만 316곳, 2019년 6만 1408곳, 2020년 6만 2948곳으로 집계됐다. 여성기업은 지난 2019년까지 전체 기업(남·여성 기업)의 30% 선에 머물렀지만 2020년에 들어서 40.15%를 기록하며 40% 선을 넘어섰다.

문제는 여성기업 수가 많아지면서 여성기업 밀집도는 꽉꽉 찼지만 속은 텅텅 비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중소벤처기업부, 지자체 등에서 여성기업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지만 지원사업의 효과가 미비하다는 목소리가 높다.

여성기업확인서를 발급받을 시 공공기관 우선·공공구매, 입찰 시 가산점 부여, 소액 수의 계약, 기업·신용보증 지원 등 혜택을 받을 수 있다.

하지만 여성기업은 가점·우대 관련 정보 제공이 부족하고 지원사업의 규모가 크지 않기 때문에 지원사업의 효과를 체감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일각에서는 여성기업의 질적 성장을 위해 지원사업을 확장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대부분 여성기업이 일과 가정의 양립, 여성기업에 대한 편견 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만큼 표면적으로 보이는 애로사항에 대한 지원사업보다 여성기업의 약점인 소규모, 낮은 임금 수준, 낮은 확장 가능성 등을 고려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의미다.

도내 여성기업 관계자는 "남자와 여자를 나누려는 게 아니라 여성기업은 대체로 남성기업처럼 대규모가 아니다. 일과 가정을 양립해야 하는 상황이다 보니 기업을 확장하는 데 어려움이 있다. 여성기업에 대한 편견이 많이 없어졌다고 하지만 여전히 존재하기 때문에 기업인들을 상대하고 판로 개척·자금 조달을 할 때 어려움이 없다면 거짓말이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