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기물 처리 문제로 갈등이 끊이지 않은 완주군에서 이번에는 폐기물소각장이 민간 업체에 의해 추진되면서 주민 반발이 거세다.
완주군에 따르면 최근 S폐기물처리업체가 완주군 봉동읍 구암리 일대에 소각시설을 건립할 계획으로 전북지방환경청에 사전심사를 청구했다. 소각시설 허가권자인 지방환경청은 업체의 관련 사업에 대해 완주군의 입장을 타진해왔다는 것이다.
S업체가 사전심사를 청구한 내용에 따르면 구암리 일대 1만 5548㎡(4703평) 부지에 1일 189.6톤의 폐기물 소각시설을 만드는 것으로 되어 있다. 처리대상 폐기물은 14종의 일반 및 생활폐기물과 13종의 지정폐기물이 포함됐고, 영업구역은 전북 외 전국을 대상으로 하고 있다.
S업체의 이 같은 소각장 설치 계획은 지방환경청이 관련 내용을 완주군에 통보하기 전 소문으로만 무성했으나 주민들은 주거밀집지역에서 멀지 않은 곳인 데다 몇 년 전 인근에 폐기물매립장을 설치하려다 주민 반대로 백지화된 상황에서 설마 폐기물 소각시설 건립을 강행할 수 있을지 반신반의한 상태였다.
막상 업체의 소각장 사전심사 청구 소식이 알려지면서 인구밀집 지역인 봉동읍 둔산지구 주민들을 중심으로 여론이 들끓고 있다. 둔산지구와 봉동읍, 삼봉지구 등 아파트 곳곳에 소각장 반대 플래카드가 걸렸고, 아파트 주민카페 등에도 소각장 건립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높아가고 있다.
모진희 모아엘가 아파트 입주자 회장(완주지킴이연대 사무총장)은 "당초 소각장 소문에도 주민들이 분노를 꾹꾹 눌렀다"며 "과연 폐기물 소각시설이 필요한지, 필요하다면 왜 하필 주민밀집지역에 들어와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그는 "주민들의 소각시설 반대가 반대를 위한 반대가 아니며, 소각장 자체가 명분 없는 시설이다"고 주장했다.
이어 "시설 허가가 난 뒤 사업을 중단시키려면 너무 힘들었던 과거 상처가 있어 허가 전 주민들의 확실한 입장을 밝힐 필요가 있고, 만약 환경청의 허가가 이뤄진다면 환경청을 상대로 투쟁을 벌이는 등의 단계별 대응전략을 세우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 완주군도 소각시설 설치에 반대 뜻을 분명히 밝히고 있다.
완주군 사업장에서 나오는 일반폐기물과 지정폐기물 소각량이 업체에서 계획하는 시설 물량의 10%에 불과한 데다 인근 전주와 익산의 소각장에서 충분히 소화하고 있어 주민이 반대하는 소각장 설치를 동의하기 힘들다는 견해다.
이와 함께 사업예정지 북동쪽으로 둔산리 6307세대, 남동쪽으로 삼봉지구 3365세대가 거주하고 있고, 둔산리 인근 3354세대의 미니복합단지를 조성 예정에 있는 등 주거밀집과 지역성장 거점지역이라는 점에서 입지적으로도 적합하지 않다고 보고 있다. 또 사업예정지 바로 옆에 다중이 이용하는 완주공원묘지가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했다.
완주군 관계자는 "완주 비봉, 테크노밸리 산단 등 폐기물 처리시설과 관련한 주민들의 고통과 상처가 지금도 남아 있고, 상관 의료폐기물 소각장 설치를 둘러싼 갈등이 현재도 진행되는 상황에서 또다시 새로운 폐기물 시설 때문에 주민들이 고통을 받게 할 수는 없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업체 관계자는 "현재 행정 절차에 따라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며 "추후 주민들과 대화를 통해 충분한 소통과 협의를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