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학중앙연구원, 새로운 시선으로 비무장지대(DMZ) 살펴본<Korea Journal> 특집호 발간

올해 한국전쟁 정전 70주년을 기념해 DMZ를 중심으로 한 학술지 발간
DMZ 문화유산 등재, 철원 노동당사, DMZ 생태 등 최신 연구 4편 수록

코리아 저널(KOREA JOURNAL) 표지/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한국학중앙연구원(이하 연구원)이 정전협정 70주년을 기념해 <코리아 저널(KOREA JOURNAL)-남북한 국경너머 DMZ(DMZ Beyond Inter-Korean Borderlands)>을 발간했다.

이번 코리아 저널 특집호의 전문은 연구원 누리집에서 무료로 읽을 수 있으며 DMZ 관련 최신 연구 4편이 수록돼 있다. 

또한 남북 정세가 변화를 꾀하고 있는 과정에서 과거 남북 간 직접적인 충동 방지를 위해 조성한 903㎢ 완충지대, DMZ가 갖는 성격과 의미를 새롭게 고찰하기 위해 제작됐다.

DMZ/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첫 번째 원고에서는 해방 직후 이북 강원도의 경계 재편 사례를 통해 북한 초기 접경 지역의 성격을 규명하는 내용이 담겼다. 특히 1946년 9월 함경남도 원산시를 북 강원도에 편입하고 강원도청을 철원에서 원산으로 이전한 북조선 임시인민위원회의 결정을 분석한다.

두 번째 원고에서는 1953년부터 현재까지 DMZ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과정을 통해 파주 DMZ 유산경관이 평화와 화해에 기여하는 바를 고찰했다.

이를 위해 연구원은 파주 DMZ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과정을 △정치극의 구축 △안보 투어 △안보와 평화 투어 △안보·평화·생태·문화 투어의 4단계로 나눠 정치·문화 등 다양한 시각으로 표현됐는지 분석했다.

철원 노동당사/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세 번째 원고는 강원도 철원군에 위치란 청원 노동당사가 갖고 있는 다층적 의미를 도출하려는 연구로 그간 노동당사의 의미를 분석하고, 집단·개인의 기억의 장소로서의 의미를 도출한다.

DMZ 철새/사진=한국학중앙연구원 제공

마지막 원고에서는 DMZ를 생태 협력 시각에서 살펴본 연구로 DMZ를 서식지로 삼은 철새 관련 내용이 담겼다.

한편 <코리아 저널>은 1961년 9월 창간된 한국학 분야 국내 최초의 영문 학술지로, 인문학 분야 최고 권위의 A&HCI(Arts and Humanities Citation Index)에 등재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