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시가 녹색 인프라 구축에 강력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자연과 조화로운 환경을 위해 생활 속 일상정원부터 대규모 녹색 인프라 조성까지 투트랙 전략을 통한 녹색정원도시 만들기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어울림정원'과 ‘스마트 가든'.
익산의 대표적 일상정원이다.
'어울림 정원'은 마을 유휴부지나 주민 이용률이 높은 공유공간에 주민들이 꽃과 나무 등을 심고 가꾸며 함께 어우러질수 있는 동네정원을 만드는 사업이다.
현재 22개 읍면동에 35개 어울림정원이 조성돼 있다.
'스마트가든'은 산업단지나 병원, 도서관, 공공기관 등에 녹색 휴식공간을 제공하기 위해 만드는 또 하나의 일상정원이다.
실내에 적합한 식물을 식재한 후 자동화 관리 기술 도입을 통해 치유·휴식·관상 효과를 극대화 시키는게 특징아다.
2021년부터 지난해까지 12곳, 올해 8곳 등 총 20곳이 조성돼 실내에서 늘푸른 사계절 정원을 즐길 수 있다.
도심 속 폐철도 부지를 건강한 도시 숲으로 만들고, 어디서든 녹색공간을 만끽할 수 있도록 숲세권 조성도 날로 속도를 내고 있다.
'익산, 숲에서 만나다’라는 컨셉으로 송학동과 오산면을 잇는 장항선 폐철도 3.5㎞, 면적 7㏊ 규모의 숲을 조성한다.
도심열섬현상과 미세먼지 차단을 위해 나무식재, 산책로를 조성하고 철도 간이역을 복원하는 등 특색 있게 꾸민다.
올해는 송학동 구간 1.5㎞, 3㏊를 조성하고, 오산면 구간 2.0㎞, 4㏊는 내년에 마무리 할 계획이다.
이와함께 산림이 그리운 익산시민에게 특별한 '숲'이 선사된다.
도내 유일의 ‘국립 치유의 숲’이 금강의 절경이 내려다보이는 웅포면 함라산 자락에 들어선다.
올 연말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한창 진행 중이다.
원광대 한의학과와 한방병원 등 지역의 인프라를 접목해 치유를 넘어 치료까지 어우러질 수 있도록 만든다.
이밖에 오는 2025년까지 도시공원 민간특례사업을 통해 도심 속 공원 5곳을 조성한다.
수도산공원과 마동은 내년 상반기, 모인은 내년 7월 준공을 목표로 공사가 한창이며 소라산은 2025년 초 준공 예정이다.
사업이 마무리되면 전체 공원조성면적이 기존 190만 2000여㎡에서 313만 7000여㎡로 1.7배 가량 확대된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도심 곳곳에 어울림정원부터 어디서든 만나는 도심숲까지 녹색정원도시로서의 품격과 자격을 갖춰가고 있다"며 “일상 속에 스며든 정원문화에서 나아가 녹색정원도시 악산의 매력을 알려 관광산업과 경제 활성화에도 도움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