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선녀 시인, 첫 시집 ‘두베가 내게 올 무렵’ 출간

삶의 이상향을 그리워하는 마음 시로 표현

소선녀 시인 /사진제공=현대시학사

소선녀 시인이 자신의 첫 시집 <두베가 내게 올 무렵>(현대시학사)을 새로 펴냈다.

오랫동안 수필을 써온 시인은 “운명처럼 시가 다가왔다”고 수줍게 고백하는 천생 시인을 꿈꾼다.

시집 ‘두베가 내게 올 무렵’ /사진제공=현대시학사

어느덧 등단한 지 20년이란 세월을 넘긴 시인이 시집을 낼 수 있도록 시에 천착한 동력은 지난해부터 전북문학관 상주작가로 활동하면서 작품을 쓰고 또 썼던 담금 과정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나그네에게 비가 많이 내리는 날씨에 잠시 쉬어갈 공간이 돼주는 지붕이 반갑듯이 인생의 여정에서 시인은 휴식 같은 친구로 시를 택했다.

“방향이 달라서 몇 만 년 지나면 별자리 귀가 틀어진다던 소문도 스스로 닳아 없어질 그 먼 광년 쫓아서// 지금은 다시 해가 질 무렵”(시 ‘두베가 내게 올 무렵’ 중에서)

시인은 “시집의 제목 중 두베는 북두칠성의 첫 번째 별이름으로 도달하고 싶은데 도달할 수 없는 삶의 이상향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문학적으로 표현하고 싶어 글로 쓰게 됐다”고 말했다.

시인의 시는 아프지만 희망적이다.

신달자 시인은 이번 시집에 대해 “새로운 경험을 하게 하는 시집이다”고 추천했다.

서정성을 바탕으로 신성한 자연 사물과의 교감을 통해 자신만의 사유를 담아 한 편의 시마다 읽는 이에게 위로를 건넨다.

유성호 문학평론가(한양대 교수)는 “시집 안에는 시인 특유의 언어적 품격을 품은 채 때로 고요하게 때로 격렬하게 흐르고 있다”는 해설을 내놓았다.

소선녀 시인은 2002년 ‘시와산문’으로 등단해 수필집 <봄이면 밑둥에서 새순을 낸다>, <푸나무의 노래>를 펴냈으며 지평선문학상, 산호문학상, 신무문학상 등을 수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