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1월 24일 전북도가 이차전지 특화단지 관련 킥오프 회의를 열었다. 그때만 해도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 가능성은 한 자릿수에 불과했다. 경쟁 자치단체는 경북 포항·상주, 울산, 충북 청주였다. 이들 자치단체는 이미 이차전지 대기업 투자와 인프라 구축이 완료된 곳이었다. 당시 이차전지 대기업 투자가 전무했던 전북은 매일매일 '악전고투'를 이어갔다.
그러던 올해 3월 SK온·에코프로머티리얼즈·중국 거린메이(GEM) 합작 투자를 신호탄으로 LG화학·화유코발트, 엔켐·중앙디앤엠 등 이차전지 선도기업의 투자가 잇따르며 상황이 급변하기 시작했다.
전북도민들도 힘을 보탰다. 올해 6월 국회에서 열린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유치 염원 500만 전북인 결의대회'는 전북도민의 열의를 보여준 대표적인 행사로 기억된다. 이 밖에 전북 이차전지 특별위원회, 전북 이차전지 실행위원회, 전북도의회 이차전지 특화단지 지정·지원 특별위원회, 전북 대학생 이차전지 특화단지 유치 결의대회도 특화단지 등 정치, 경제, 사회 각 분야의 유치 노력이 이어졌다.
△이차전지 산업 후발주자 전북도의 승부수
타 자치단체가 과거와 현재를 이야기했다면, 전북도는 현재와 미래를 이야기했다.
전북도는 새만금 부지의 확장 가능성, 안정적인 전력과 용수 공급, 재생에너지를 통한 RE100 및 CF100 실현 등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새만금의 강점을 부각하는 전략을 세웠다. 그리고 그 전략은 주효했다.
그러나 새만금의 강점과 기업 유치만으로 특화단지 평가에서 우위를 점하긴 어려웠다. 산업부가 강조하는 초격차 기술 확보와 전문 인력 양성이 약점이었다.
이를 위해 전북도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서울대 글로벌 R&DB 센터, 한국화학융합시험연구원, 한국전기안전공사 등과 5대 상용화 핵심센터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맺고 연구 개발과 인력 양성을 공동으로 추진하기로 했다.
또 전북테크노파크 내 이차전지 인력양성지원센터를 개소해 인력 양성 체계를 갖췄다. 도내 6개 대학, 마이스터고 등과도 이차전지 인력 양성 업무협약을 맺고 협력 체계를 구축했다.
일명 'PT 지사'로 불리는 김관영 전북도지사의 특화단지 발표 심사 PT도 한몫했다. 20차례 이상의 리허설을 거친 김 지사는 직접 발표에 나서며 전북의 이차전지 산업 육성 의지를 심사위원들에게 전달했다.
이와 함께 전북도의 의지도 적극 피력했다. 이차전지 전담팀을 신설하고, 전북도의회와 함께 이차전지 산업 육성 조례를 제공하며 행정적·재정적 역량을 모아 나갔다.
△이차전지 특화단지 기대 효과와 향후 계획
전북연구원은 기업 투자 유치(7조 원 전제)에 따른 경제적 파급 효과로 생산유발 효과 8조 5000억 원, 고용유발 효과 3만 2000명이 나타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특히 전북의 전국 지역내총생산(GRDP) 비중이 2021년 2.7%에서 2028년 3.5%까지 상승할 것으로 예상했다.
전북도 역시 새만금 이차전지 특화단지 유치가 전북 지역 경제 활성화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특화단지를 기회 삼아 이차전지 산업을 전북의 미래 성장산업으로 육성하겠다는 방침이다.
이와 관련 새만금 일대를 '이차전지 핵심 소재 공급기지'로 조성하겠다는 비전 아래 △이차전지 밸류체인 고도화 △초격차 기술 확보 통한 연구개발 혁신허브 구축 △국제적·초광역적 인재 양성 기반 마련 △기업 지원 협업 체계 구축 등 4대 추진 전략을 실행해 나갈 계획이다.
또 전북도와 새만금개발청, 군산시가 신속처리 전담반(TF)을 운영하는 한편 산·학·연·관 협업체를 구축해 공동 연구, 기술 공급, 인력 양성 등을 함께 추진해 나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