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금리 여파로 아파트 가격 하락과 거래절벽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전주 에코시티에 공급되는 한양수자인 디에스틴 주상복합 아파트가 평균 85대 1의 높은 청약경쟁률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시가 조정지역대상으로 지정돼 그동안 신규 아파트 공급이 끊기면서 구도심에서 신도심으로 이주하려는 수요가 늘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부동산원 청약 홈에 따르면 지난 25일 진행된 전주 에코시티 한양수자인 디에스틴의 1순위 청약 접수 결과 전용 84㎡A,B,C 3개 타입 총 110가구 모집에 9393건이 접수돼 전 타입이 1순위에서 마감됐다. 최고 경쟁률은 전용 84㎡A타입으로 162대 1이라는 기록적인 청약경쟁을 보였다.
정부의 부동산 경기 활성화를 위한 노력으로 수도권을 중심으로 아파트 가격이 오름세로 전환되고 있는 반면 전북지역은 지난 해 8월 이후 11개월 동안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는 상황에서 이변이라는 반응이 나오며 극심한 경기침체를 겪고 있는 지역 부동산 경기에도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전주시가 지난 2020년 12월부터 부동산시장 과열을 막기 위해 부동산 거래를 규제하는 조정지역으로 지정되면서 지난 해 말까지 신규 아파트 공급이 200여 세대에 불과해 신규 아파트에 대한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되며 올 하반기 에코시티 16블록에 분양예정인 포스코 아파트도 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양수자인 디에스틴이 지난 2015년 전주 효자동 하늘채 스카이 타워 이후 전주에 없던 최고층 단지(최고 48층)로 조성되는 데다 에코시티 최중심에서 분양하는 단지라는 점도 높은 청약 경쟁률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앞으로 전주지역에 에코시티 포스코와 함께 전주 서신동 감나무골과 중노송동 기자촌 재개발사업단지에서 3000여 가구의 신규 아파트가 쏟아질 전망이어서 실수요자들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전주지역 부동산 전문가들은 “극심한 경기침체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에서 에코시티 한양수자인 아파트의 높은 청약률이 이변으로 꼽히고 있다”며 “고금리 상황이 진정되고 있는 상황이어서 향후 포스코와 재개발 단지의 일반 분양에도 수요자들이 몰릴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