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에서 활동 중인 고수환(74) 악기장이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로 최종 인정됐다.
문화재청은 지난 26일 고수환 씨를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로 인정하는 고시를 발표했다.
27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우리나라 국가무형문화재 악기장 보유자는 북 제작 3명, 현악기 제작 1명, 편종·편경 제작 1명 등 총 5명 뿐이었다. 고수환 악기장(가야금)의 이번 국가무형문화재 보유자 인정 소식이 더 큰 의미를 갖는 이유다.
고수환 악기장은 지난해 서면 심사와 올해 4월 현장 조사에서 악기장(현악기)에 대한 전승 능력과 전승 환경, 전수 활동 기여도 등이 탁월한 것으로 평가돼 악기장 현악기 보유자로 인정받았다.
정읍 출신인 그는 어린 시절 가야금 소리에 매료돼 가야금 만드는 일에 한평생을 바쳐왔다. 초등학교 졸업 후 전주 황방산 뒤편에 있는 가야금 공장에 취직했으며 이후 대부분 전주에 머물며 국가무형문화재 현악기 제작 보유자였던 이영수 선생으로부터 그 기법을 전수받아 48년 동안 현악기 제작 기술을 연마했다.
특히 그는 가야금 제작에 대한 장인정신을 높게 평가받아 1998년 전북무형문화재 악기장(가야금) 보유자로 인정받았으며, 전북전승공예연구회 회장과 전국국악기 기능보존회 회장 등을 역임했다. 지난 2007년에는 ‘자랑스런 한국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한편, 악기장은 전통음악에 쓰이는 악기를 만드는 기능 또는 그러한 기능을 가진 사람으로 북 제작, 현악기 제작, 편종·편경 제작의 3개 제작의 3개 핵심 기·예능으로 나뉜다. 우리나라 국악기는 약 60~70종으로, 가야금과 거문고는 우리나라 대표적 악기라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