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의 1인당 지역내총생산액(GRDP)이 3091만원으로 전국 최하위다. 전북보다 아래였던 강원과 충북이 앞서 있고 제주특별자치도가 비슷하다. 왜 이렇게 됐을까. 역대 정권들로부터 전북이 산업화 과정에서 소외돼 국가 예산을 제대로 받지 못해 SOC 구축이 미진, 그 결과로 산단 조성과 기업 유치를 못한 탓이 컸다.
민주화 이후 남의 탓 못지않게 내 탓도 있다는 것이다. 1991년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이후 민주당 일당 독식 구조라는 독특한 정치체계가 만들어져 경쟁의 정치가 펼쳐지지 않은 탓이 지역을 피폐하게 만들었다. 민주당으로 공천만 받으면 당선되는 구조라서 주민들보다는 공천권자에게 머리를 조아리는 악습이 거듭, 지역 발전이 뒤쳐졌다.
국회의원을 비롯 선출직들이 비전을 제시하면서 지역 발전을 도모하려고 힘쓰기보다는 자신의 입신양명하기에 급급한 것도 낙후 원인이었다. 3차례나 진보 쪽에서 정권을 잡았음에도 이 기회를 살리지 못한 탓이 제일 크다. 여기에 일부 시민사회단체들이 존재감을 부각시키려고 사사건건 발목을 잡고 시비 일변도로 나간 것도 잘못이었다.
아직도 농경산업이 주를 이룬 전북이 산업 생태계를 바꿔놓지 못하면 전국 꼴찌라는 오명을 벗기가 쉽지 않을 전망이다. 그간 지역내총생산 순위에서 전북한테 밀렸던 강원과 충북이 지금 전북을 앞선 것은 수도권 팽창에 따른 대단위 공단 조성을 통해 기업 유치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충북 진천만 해도 전북 전체 법인 수보다 많을 정도로 기업이 활발하게 돌아간다. 오송은 식약청 등 관련 기관과 산학연 체계를 잘 갖춰 국내 바이오산업의 핵심 기지로 발전했다.
이들 지역이 기업 유치를 통해 일자리 창출에 성공할 수 있었던 것은 공무원들과 지역 주민들이 기업 하기 좋은 여건을 함께 만들어줬기 때문이다. 특히 선거 때마다 여야가 경쟁하도록 골고루 뽑아줘 경쟁의 장을 만들어준 것이 효과를 거뒀다. 이 때문에 충북과 강원은 여야 국회의원들이 국가 예산 확보를 위해 서로가 경쟁적으로 노력하고 있다. 강원도는 국힘 윤핵관 등 실세들이 포진해 내년 국가 예산 확보 목표를 전북보다 많은 10조 원으로 잡고 전력투구한다.
전북은 다행히도 그 누구도 생각치 못했던 이차전지 특화단지를 새만금으로 유치해야만 전북의 산업 생태계를 바꿀 수 있다는 김관영 지사의 저돌적인 생각이 마침내 결실을 맺어 희망을 갖게 한다. 전북이 이차전지를 유치하겠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까웠다. 그 이유는 정권 실세들이 포진한 울산 포항 오송에서 이미 생산을 하고 있어 전북이 유치전에 뛰어든다는 게 불가능했다. 하지만 모처럼만에 전북출신인 한덕수 총리가 윤석열 대통령과 주례회동 때 새만금 장점을 피력, 원군 역할을 해준데다 국힘 정운천의원과 민주당 신영대의원이 해당 산업위에서 뒷받침을 잘 해줘 김 지사가 이차전지 새만금 유치라는 백년먹거리를 챙길 수 있었다.
젊은 김 지사가 꿈과 비전을 제시하면서 하나씩 성과를 거두고 있어 도민들이 김 지사한테 더 힘을 실어줘야 한다. 그래야 전북이 전국 꼴찌를 면하면서 함께 잘 살 수 있다. 백성일 주필 부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