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에 머물며 대한민국의 문화를 즐기던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청소년들이 모든 일정을 마무리하고 고국으로 돌아갔다.
시는 원색명화마을에서 2박 3일간의 농촌체험 프로그램을 즐기던 알제리와 짐바브웨 대원 20여 명을 끝으로 전주에 머물던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 청소년들이 모두 전주를 떠났다고 14일 밝혔다.
알제리와 짐바브웨 청소년 대원들은 지난 11일 서울 상암월드컵경기장에서 열린 ‘K팝 슈퍼 라이브 콘서트’와 ‘2023 새만금 세계스카우트 잼버리 폐영식’에 참석한 후 12일부터 2박 3일 동안 잼버리 사후 프로그램으로 원색명화마을의 ‘마을형 HoHo 프로그램’에 참여해 전통놀이 체험과 한복체험, 한국 간식 만들어 먹기 등 다양한 프로그램을 즐겼다.
지난 제6호 태풍 ‘카눈’의 북상으로 야영지에서 철수해 전북대학교와 전주대학교, 한국농수산대학교로 각각 숙소를 옮겨 전주에서 지내던 포르투갈과 말레이시아, 방글라데시 등 4개국 2000여 명의 세계잼버리 대원들도 지난 12일자로 고국으로 돌아갔다.
시는 잼버리 시작 전인 지난 1일에도 인도에서 온 잼버리 대원들을 상대로 농촌체험 프로그램을 제공했다.
시는 야영지를 떠나 전주에 머물게 된 잼버리 대원들이 마지막 순간까지 불편을 겪지 않고 인상적인 추억을 만들 수 있도록 통역과 위생, 안전 등에 세심한 주의를 기울였다.
특히, 시는 잼버리 대원들이 전주한옥마을과 국립무형유산원, 국립전주박물관 등에서 전주의 매력을 만끽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지원하고, 운영 요원과 봉사자를 충분히 확보해 전주에 머무는 동안 동행하며 지원했다.
태풍 ‘카눈’의 영향권에 접어들었을 때는 야외활동 대신 전주실내체육관과 전주대학교, 한국농수산대학교 등 실내 공간에서 비석치기와 한복공예 등 전통놀이 체험 프로그램과 전주시립예술단 공연, 김장김치 담그기 체험 등이 펼쳐지기도 했다.
시 관계자는 “‘2023 새만금 세계 스카우트 잼버리대회’를 계기로 전주를 찾았던 전 세계 모든 청소년이 전주에 대한 좋은 인상을 간직하고 고국으로 안전하게 돌아가길 바란다”면서 “전주에서의 시간이 다시 찾고 싶은 기억으로 남아 전주와의 인연이 이번 한 번으로 끝나지 않고 언젠가 다시 만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