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군산군도 광역해양레저체험복합단지 조성사업으로 사라질 위기에 놓인 무녀도 염습지를 보존하자는 주장이 제기됐다.
군산환경운동연합(공동대표 임춘희, 남대진)은 논평을 통해 “해양레저단지와 연계, 습지를 보존하며 생태체험장으로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염습지는 염수나 반염수가 넘쳐흐르며, 사초·등심초 같은 풀과 유사한 식물로 덮여 있는 배수가 잘되지 않는 평탄한 저지대로, 해양환경의 건강과 기능에 기여하는 매우 가치 있는 생태계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치를 고려해 이곳에 작은 염전을 만들고, 소금 만들기 체험장을 조성하거나 또는 소금 박물관과 탐방로를 만들어 순천만과 같이 거닐면서 습지를 관찰토록 광역해양레저체험복합단지 조성 사업과 연계하자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군산환경운동연합은 “광역해양레저체험복합단지 사업 자체를 반대할 생각은 없다”면서 “하지만 광역해양레저체험복합단지가 조성되면 40년 이상 보존되어 온 옛 무녀도 정수장 터 일대 염습지는 사라지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정수장과 바다로 이어지는 곳은 대부분 과거 염전이었던 곳이다"며 ”무조건 습지를 그대로 두자는 것은 아니다, 해양레저단지와 연계해 습지를 보존하면서 생태체험장으로 활용하면 일거양득 효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특히 “이미 선유도에서 매립을 중단하고 흰발농게를 보존해 관광자원으로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것과 연결 짓는다면 훌륭한 생태체험장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습지를 메워 건물을 짓는 건 가장 쉬운 돈벌이지만 고군산군도를 생태와 환경을 보존해 청정관광지로 자리매김한다면 그 가치가 훨씬 높아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고군산군도 광역해양레저체험복합단지 조성사업은 무녀도 정수장 터에 해양레저체험과 산림휴양을 위한 광역해양레저단지를 조성하는 사업으로, 업체 선정을 마무리 짓고 내달 중순부터 본공사가 시작된다.
이 사업은 군산시의 고용 및 산업 위기 지역 지정에 따른 경기 활성화 지원을 위해 해양수산부 SOC사업에 반영됐으며, 총사업비는 386억 9000만 원(국비 193억 4500만 원 포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