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와 금융당국이 새마을금고의 뱅크런(대규모 예금 인출)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발 벗고 나섰지만, 금융 소비자의 우려는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뱅크런' 우려가 불거진 지 두달 여가 지났지만 급한 불 끄기에만 급급할 뿐 뚜렷한 해법은 모호해 근본적인 대책 마련만이 금융 소비자의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앞서 행정안전부는 지난달 초 연체율을 기준으로 개별 새마을금고 100곳에 대해 특별검사·점검을 진행한다고 밝혔다. '시장 안정화 우선'을 이유로 특별검사·점검을 무기한 연기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아직 특별검사·점검에 대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채 이달 초 연체율이 높은 부실 위험금고 280여 곳(고위험 금고 31곳, 중위험 금고 247곳)을 선정·관리하겠다는 소식을 전했다.
새마을금고중앙회에 따르면 부실 위험금고를 통폐합하기보다는 연체율·건전성 관리에 집중할 계획이다. 금융사고가 발생한 금고라면 구조조정 수순을 밟겠지만, 단순한 부실 위험금고는 구조조정 근거가 분명하지 않아 구조적인 점검, 연체율·건전성 관리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다는 의미다.
이렇듯 연달아 연체율을 기준으로 한 부실 위험금고 지정 소식이 전해지면서 소문이 무성해지고 있다. 금융당국 등이 '뱅크런'을 고려해 부실 위험금고를 공개할 수 없다는 입장을 밝혀 금융 소비자들 사이에서 '부실 위험금고 조회', '부실 지점 목록' 등이 화제가 되고 있기 때문.
전북지역도 예외는 아니다.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이 높은 금고가 10여 곳에 달하고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이 전국 최고 수준으로 알려지면서 도내 금융 소비자의 불안은 날로 커지고 있다.
20일 새마을금고 홈페이지에 게시된 도내 새마을금고 60여 곳에 대한 정기고시를 전수조사한 결과 지난해 말 기준 연체율이 10% 넘는 곳은 2곳, 9% 대는 3곳, 2021년 대비 5배 가까이 증가한 곳은 2곳으로 나타났다. 동 기간 전북지역의 건설·부동산업 대출 연체율 역시 전국에서 유일하게 10%를 넘기면서 가장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금융당국 등은 "전북의 경우 대출 채권 총량이 크지 않아 연체율이 높아질 수밖에 없는 구조다"고 설명했지만, 금융 소비자의 불안을 잠재우기에는 역부족인 설명이다.
지난달 초 A 새마을금고에서 만난 김모(70·여) 씨는 "은행 거래는 새마을금고만 하고 있다. 5000만 원까지는 보장해 준다고 하니까 그 이상을 하기에는 조금 불안한 것은 사실이다"면서 "계속 불안하고 힘든 것 같다. 그래서 그냥 5000만 원은 두고 나머지는 해지하려고 왔다"고 토로하기도 했다.
새마을금고 전북지역본부는 "연체율이 높은 개별 새마을금고에 대해 일일이 관리하고 있다. 행정안전부 특별점검·검사 대상 지정 공고도 안 뜬 상황이고 연체율·건전성 등을 관리하고 있기 때문에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말했다.
한편 새마을금고중앙회는 지난 18일 '1차 경영혁신위원회'를 열고 건전성 제고 등 주요 추진 과제를 점검했다. 새마을금고 경영혁신위원회는 행정안전부,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한국은행 등이 추천한 금융·경제 전문가 12명으로 구성돼 경영 혁신과 건전성 관리 등 현안에 대한 자문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