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우의 미술이야기] 교동미술관, '환상의 미학' 전

박종수 작가 작품/사진=이승우 작가 제공

위대한 전쟁 영웅이라는 더글라스 맥아더조차도 "노병(老兵)은 죽지 않는다. 다만 사라질 뿐이다." 라 했다고 배웠는데 사라지기는커녕, 빛을 잃어가지도 않고 젊을 때보다 더욱 빛을 내는 힘이 충만한 노장의 전시를 실로 오랜만에 보았다,

내 나이도 암만이라 나보다 선배의 개인 전시는 거의 없다시피 한다.

그런 추세에도 불구하고 77세의 박종수 선배가 전북 최초의 사립미술관인 교동미술관 1, 2층에서 개인 초대전을 한다기에 반가운 마음으로 달려갔다.

1~2년 전쯤에 전통문화 예술회관에서 회고전 형식의 큰 전시를 했었기에 이번에도 그런 모습이겠거니 생각하고 갔다.

그러나 큰 오산이었다. 비교적 큰 크기의 작품들 51점 모두 신작이었다.

힘도 좋지. 그 연배에 그 정열이라니, 스스로 부끄러움에 고개가 숙여진다. 나도 밤잠을 멀리하고 작업을 하지만 완성된 작품은 찾기 힘들고 맨날 습작인데, 완성된 그림만 골라서 51점이다.

모두 초현실주의 계통의 그림인데 맨 먼저 보이는 그림이 편상(片想)으로 구성한 전상(全想)도 있어서, 즉 복합적이지 않은 한가지 생각들을 담은 작은 화면을 이어 붙혀가며 스토리텔링을 하여 비로소 여러 개의 캔바스를 합쳐 하나의 생각으로 정리하는 그림이 처음 눈에 띄어 그 생각의 젊음에 일단 놀랐다.

엉겅퀴로 대변되던 민초들의 그림을 그리던 젊은 시절을 지나, 이야깃거리가 많아 최고의 문학 지대를 통과해야 하는 반 구상(具象) 그림에 열중하다가 말년에는 마침내 초현실주의 화풍에 몰두하고 있었다.

여기에서 생각되는 것이 초현실 계통의 그림을 그리려면 색과 형태를 어린아이 떡 주무르듯 화면을 마음대로 조작해서 그릴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 한다.

그래야 비로소 현실이 아니라 현실을 뛰어넘는 새로운 세계를 표현할 수 있다.

초현실주의 자체가 전통과 제도, 그리고 상식을 철저하게 파괴했던 다다 운동의 적장자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자기의 그림을 보는 사람들에게 충격을 줘야 한다.

충격의 효과를 극대화하려면 깊고 깊은 문학적 소양이 필요하다. 스토리텔링도 그렇다. 그래서 박종수 화백이 자주 만나 회포를 푸는 사람 중엔 진동규, 호병탁, 김익두 등 내로라하는 문학가들이 많다.

아무튼 고령이라면 고령인데도 끝없이 샘솟는 그의 정열에 숙연해지면서 무늬만 화가인 젊은이들에게 충분한 귀감을 주었으리라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