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민심 외면한 정의당, 내년 총선 어떻게 치르나?

정의당 전북도당 회견 열고 “잼버리 명분 공항·도로 추진” 주장
“건국 이래 최대 규모 새만금사업 토건 기업 배만 불려” 강조
전북 민심은 이와 상반돼. 정의당 지탄하는 목소리 곳곳서 터져

정의당 전북도당은 24일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계잼버리 파행 이후 새만금 사업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사진=이강모 기자

정의당에 대한 전북도민들의 민심이 싸늘하다. 정의당이 국민의힘 기조에 맞춰 전북이 세계잼버리를 명분삼아 새만금신공항 등의 사업을 추진했다고 주장한데 따른 것이다.

정의당 전북도당은 24일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세계잼버리가 파행으로 치닫은 원인은 잼버리를 명분삼아 새만금신공항과 도로 건설 등 SOC 사업 추진을 목적으로 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그간 정부와 여당이 줄기차게 ‘전북책임론’을 내세우며 주장해온 내용이다. 

정의당은 이날 “잼버리대회 준비를 위해 천문학적인 비용과 시간을 투자한 국제행사가 이토록 처참하게 실패한 근본적인 이유는 개최지로 부적합한 부지를 무리하게 선정했기 때문”이라며 “김관영 도지사를 비롯해 전북 정치권들은 잼버리 실패에 대한 책임을 묻는 국민들의 엄중한 질타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새만금 사업 지키기에 급급하다”고 했다.

이어 “건국 이래 최대 규모의 토건 사업이라는 새만금 개발사업에 대략 10조원 정도가 투입되었다 한다. 과연 실질적인 이익과 혜택은 누구에게 돌아가고 있는 것인지 이제는 제대로 짚어봐야 한다”면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새만금 사업에 투입한 전체예산 4조 5100억 원의 72%인 3조 2454억 여원이 20개 토건 기업에게 돌아갔다고 한다. 새만금 개발의 최대 수혜자가 도민이 아닌 토건 기업”이라고 했다.

이에 앞서 국민의힘은 지난 19일 “잼버리를 이용해 새만금을 개발하려던 전북도의 ‘검은 속내’ 대가를 톡톡히 치러야 한다”고 논평을 냈고, 이날 정의당의 회견은 이와 일맥상통한다.

정의당의 이 같은 주장은 전북 민심을 제대로 읽지 못했다는 비판이 나온다. ‘잼버리 전북 책임론’에 반발하고 나선 전북 의료계와 종교계, 사회복지계, 노인회, 그리고 정치권 등이 꼽고있는 대표적 가짜뉴스는 ‘잼버리를 이용해 새만금신공항 및 신항만, 도로 등 SOC를 유치했다’는 등의 내용이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정의당에 대한 표심이 어떻게 바뀔지도 관심사로 떠오른다. 지난 20대 총선 비례대표 국회의원 선거에서 전북은 정의당에 8.14%의 지지를 보냈고, 21대 총선에서는 12.01% 득표율을 기록했다.

새만금신공항의 역사를 보면 1990년 김제공항 건설사업으로 시작됐다가 2008년 전면 사업이 취소됐다. 이에 이명박 대통령은 김제 대신 군산공항 인근 확장검토를 지시했다. 대통령의 지시 이후 3개월 후 전북권 공항사업은 정부가 주도하는 ‘광역경제권 30대 선도 프로젝트’에 포함됐다. 전북도는 이에 맞춰 2014년 11월부터 2015년 11월까지 1년간 전북권 항공수요조사 연구용역에 착수했다. 다음 해인 2016년 6월 박근혜 정부 시절 국토교통부는 ‘제5차 공항개발 중장기 종합계획’(2016~2020)에 새만금 신공항 사업을 반영했고, 2019년 문재인 정부 국가균형발전 프로젝트 일환으로 예타가 면제된 사업이다.

새만금 신공항 관련 국토교통부 용역, 새만금 신공항의 당위성과 지난 30년의 역사가 개괄돼 있다/출처=국토교통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