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공무직원은 콜센터 직원으로 채용된 사람이 아닙니다.”
전북지역 교육공무직들이 교육부가 내놓은 민원 대책에 대해 '독박민원' 을 초래한다며 반대하고 나섰다.
민주노총 전국교육공무직본부 전북지부(이하 노조)는 28일 전북교육청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모든 1차 민원을 교육공무직에 전가하는 민원 업무 일원화를 거부한다"고 밝혔다.
이어 "1차 접수와 분류·처리까지 교육공무직이 맡게되면 한 곳에 몰린 민원과 각종 파생업무 등 심각한 민원업무 폭탄을 초래하게 될 것이다"며 "'악성민원 욕박이'로 교육공무직을 활용하게 될 것이다"고 우려했다.
교육부는 앞서 학교장 책임하에 교감, 행정실장, 교육공무직 등 5명 가량이 민원 대응팀을 구성하는 내용의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노조는 "교육·행정실무사 등 교육공무직은 민원업무 전담을 위해 채용된 사람이 아니다"며 "교육부가 발표한 방식의 민원대응팀, 교육공무직의 희생을 강요하는 민원대책에 협조할 수 없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특히 "교육부의 발표 과정은 매우 기만적이었고, 전체 교육공무직을 우롱했다"며 "교원단체 등과 20여 차례 협의하고 토론회도 개최할 동안 교육공무직과는 단 한 차례 전화 통화조차 없었다"고 격한 목소리를 분출했다.
전북교육청에 개선된 민원대책 수립도 요구했다.
노조는“교육청은 교육부의 잘못된 방안을 그대로 답습해서는 안 된다. 교육공무직의 피해가 없도록 새롭게 개선된 대책을 마련하고 협의해야 한다”면서“교육부는 사전에 우리들과 소통하지 않았으며, 강한 항의 후 이뤄진 단 한 번의 소통조차 기만했다. 교육청은 교육부를 따라가서는 안 된다. 교육공무직과 민주적으로 협의, 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어 "개인이 아닌 기관이, 권한을 가진 자가 책임지도록 하겠다면서 왜 권한조차 주어지지 않은 교육공무직은 1차 민원의 욕받이가 되고 민원 업무 폭탄을 맞아야 하느냐"며 "교육청은 교육부의 기만적 일방 행정을 답습하지 말아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에 대해 전북교육청은“학교장, 교원단체 간담회를 진행했고, 교육공무직과의 간담회도 실시할 예정이다”면서 “교육활동 보호를 위한 민원 대응 체계로 학교 현장의 혼란과 어려움이 없도록 안정적인 민원대응 시스템 구축에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