숨진 서이초 교사의 49재를 기리는 '공교육 멈춤의 날(9월 4일)'을 앞두고 교육계에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다.
교육부가 일선 학교의 재량휴업과 교사 집단행동을 막아서고 나섰지만 일부 교사들은 연가·병가 등을 낸 뒤 집회 참가를 예고한 상태다. 여기에 초등학교 부모들 사이에서 교사들이 4일로 정한 '공교육 멈춤의 날'을 응원하는 체험학습 신청 인증 릴레이도 이어지고 있다.
이주호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3일 '9·4 공교육 멈춤의 날'을 만류하며 교사들에게 '학생 곁을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교권 회복 교육 현장 정상화를 위한 호소문'을 통해 "고인이 된 선생님을 향한 추모의 뜻과 무너져 내린 교권을 회복해야 한다는 마음은 교육부도 선생님들과 절대 다르지 않다"며 "우리 학생들에게는 선생님이 필요하다. 선생님들은 학생들의 곁에서 함께 해 주길 부탁드린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선생님들의 정상적인 교육활동에 대한 열망, 교권 회복에 대한 간절함이 실현될 수 있도록 교육당국이 앞장서겠다"라며 "상처받은 교권을 회복해 선생님들께서 더 이상 불안해하지 않고 교육에 전념하실 수 있도록 교육부와 교육청이 더욱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서거석 전북교육감도 입장문을 내고 교권회복에 대한 강한 의지를 다시 한 번 드러냈다.
서 교육감은 지난 1일 입장문을 통해 "선생님들과 함께 교권을 바로 세워 참담한 교육 현실을 바로잡아 희망에 찬 교육으로 바꾸는 데 온 힘을 다하겠다"며“서이초 교사 49재를 앞두고 교육 공동체 간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상황이 매우 안타깝다”고 말했다.
그러면서“이번 갈등은 연가와 임시휴업(재량휴업)의 해석에 차이에서 비롯됐다. 교권 확립이라는 목적도 같고, 학생들의 학습권을 존중해야 한다는 목표도 같은데, 다만 9월 4일 하루를 어떤 방식으로 추모하느냐의 차이가 나타난 것”이라며“교육부와 17개 시도교육감협의회가 간격을 좁히기 위해 노력했지만 안타깝게도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고 설명했다.
서 교육감은“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교실을 지키며 사랑으로 아이를 보살피는 선생님들께 다시 한 번 간곡히 호소드린다”면서“교육 공동체가 분열하면 안 된다. 슬픔과 분노 속에서도 모두가 하나의 방향으로 결집한 힘을 살려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도내 6개 교원단체를 비롯한 교사들은 4일 오후 5시 30분께 전북교육청에서 '방과후 추모 집회'를 가질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