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꽃처럼 살다간 한 시대의 영웅을 무대에서 만나본다.
극단 까치동은 최기우 극작가와 함께 감동적인 영웅 서사를 관객에게 선사한다.
5일 오후 7시 30분 전주 우진문화공간 예술극장에서 선보이는 ‘거두리로다’가 그것이다.
공연은 걸인들이 준비한 장례식 장면으로 막이 오른다.
무대에는 걸인 성자 이보한(1872~1931)의 죽음을 슬퍼하며 상여가가 울려 퍼진다.
자비로운 선행과 투철한 민족정신으로 전주지역 사람들에게 ‘이거두리’로 불린 이보한은 경기전을 지키고 관리하는 참봉이면서 생전에 존경과 예우를 한 몸에 받은 인물로 전해지고 있다.
“내 장례 치르는 날은 흥겨운 판이 되도록 해주소! 정성스럽고 융숭하게 술도 많이 빚고 떡도 많이 찌고 그날 하루만이라도 너 나 없이 온 동네가 풍족하게 먹는 날이 되도록 해주소!”
엄혹했던 일제강점기 시절 전주를 배경으로 한 ‘거두리로다’는 민초들에겐 들풀 같이 부드러우면서 불의에 맞서야 할 때 한없이 강직했던 이보한이란 인물에게 초점을 맞춰 이야기가 진행된다.
그의 애국적이고 해학적이며 교훈적인 일화를 배우들은 연기와 신명 나는 소리로 만들어내기 위해 몸을 아끼지 않고 연습에 한창이다.
특히 3·1운동 당시 거지들을 이끌고 서울에서부터 충남 천안을 거쳐 전주로 내려오면서 펼쳤던 만세운동은 극이 진행되던 중에는 관객들과 함께 선보일 예정이다.
이번 공연은 연출 정경선, 극본 최기우, 예술감독 전춘근, 기획 정성구, 작곡 김세희 등이 참여하고 배우로는 소종호·조민지·이건일·이우송·박필순이 출연한다.
극본을 맡은 최 작가는 “희곡 ‘거두리로다’를 쓰면서 이보한을 둘러싼 극적인 상황들에 안타까웠고 전주 경기전 참봉 이야기에 끌렸다”며 “전국 어디에도 없을 전주만의 3·1만세운동에 설렜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 그는 “어두운 시대에도 동구 밖 정자나무처럼 버티고 서 있던 한 사람과 전주 사람들, 전주만의 풍자와 익살, 흥이 가득했을 만세운동을 세상에 알릴 수 있길 기대해본다”고 말했다.
이번 공연은 12세 이상 관람 가능하며 무료로 선착순 예약을 받는다.
예매는 나누컬처(www.naruculture.com, 1522-6278)를 통해 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