팁 문화 무엇이 정답일까?

민성욱 전주국제영화제 공동집행위원장 

요즘 팁 문화 도입에 대한 온라인 설전이 뜨겁다. 카카오 택시가 그 불씨를 키웠다고 볼 수 있는데 강제가 아니니 괜찮다는 의견은 소수인 것 같고 이것을 시작으로 미국처럼 될 수 있으니 받아들이면 안 된다는 의견이 다수인 것 같다.

미국은 보통 웨이터/웨이트리스가 있는 레스토랑에서는 팁이 거의 필수이지만 패스트푸드점 같은 곳에서는 팁을 주지 않아도 별 상관이 없었다. 코로나 이전 팁의 규모는 보통 음식 값의 10%가 일반적이고 조금 더 주면 15%, 20% 정도였는데 요즘은 팁의 규모가 많이 커져 기본이 15%, 20%이고 서비스에 만족 했을 시 25%, 30%까지 표기되어 나온다. 식당 메뉴 가격을 보고 생각보다 저렴하다고 생각했던 사람들도 팁이 추가되는 순간 싼 게 아니었다는 걸 바로 느끼게 되는 게 팁의 무서움이다. 요즘엔 키오스크로 주문을 하고 본인이 직접 음식을 가져와 먹고 치우기까지 하는데도 키오스크에서 팁을 선택 해야만 하는 레스토랑이 많이 생겨나고 있어 이것 때문에 최근 미국에서도 팁 문화에 대한 불만이 속출하고 있다. 

영화 속 장면에서도 팁 문화에 대한 논쟁이 일어나는데, 지금으로부터 30년 전인 1992년에 만들어진 <저수지의 개들>이란 영화가 바로 그것이다. <창고의 개들>이 맞는 번역인데 우리나라에서는 <저수지의 개들>이 돼버렸다. 어쨌든 세계적인 명장 쿠엔틴 타란티노의 감독 데뷔작인 이 영화의 시작 부분에 “팁”에 관한 이야기를 하는 내용이 나온다. 모닝커피와 간단한 식사를 한 일행 중 한 명이 내가 계산 할 테니 나머지 사람들이 1달라씩을 팁으로 내라고 한다. 모두가 테이블 위에 1달라씩을 내어 놓는데 그 중 한 명인 스티브 부세미(미스터 핑크 역)가 나는 팁을 내지 않겠다고 한다. 일행들이 웨이트리스가 얼마나 친절했는지에 관해 이야기하면서 팁을 내라 하지만 스티브 부세미는 “팁을 줄 만큼 특별히 친절하지는 않았다. 여기에 오랜 시간 앉아 있었는데 커피 리필을 세 번 밖에 안 해줬다. 여섯 번은 해줘야 팁을 주는 거 아니냐?”라고 받아치고 일행들이 웨이트리스가 최저임금으로 얼마나 열심히 일하고 고생하는지에 관해 한목소리를 내면 스티브 부세미는 “맥도날드 직원들도 똑같은 최저임금으로 다들 열심히 일하는데 왜 그들에게는 팁을 안주는 것이냐”며 본인의 주장을 굽히지 않는다. 논쟁이 계속 이어지다가 음식 값을 내고 온 일행이 팁을 내라고 윽박지르자 결국 마지못해 팁을 내기는 하는데 재미있는 점은 쿠엔틴 타란티노 감독이 다음 작품이었던 깐느영화제 대상작인 <펄프픽션>이라는 영화에서 팁을 내지 않으려고 했던 스티브 부세미 배우를 웨이터 역할로 출연 시켰다는 것이다. 그것도 단역으로. 영화상에서는 계산하는 장면이 안 나와 스티브 부세미가 과연 팁을 받았을지 안 받았을지 궁금하기는 했지만 정황상 못 받았을 것 같기는 하다. 

이렇듯 미국에서도 아주 오래전부터 팁에 관한 논쟁이 이어져 왔고 최근 까지도 그 논쟁은 이어지고 있어 쉽게 결론을 내리지는 못하겠지만 미국식 팁 문화는 한국 실정에서 그리 좋은 방안이라고 생각되지 않는다. 그냥 여태까지 그래왔던 것처럼 개인이 고마움을 표시하고 싶을 때 자유의지로 하는 것이 최선이라는 생각이다. 계산대 위 불우이웃돕기 모금 통도 최근 들어 팁 모금 통으로 바뀌는 추세던데 이것도 팁 보다는 예전처럼 더 어려운 분들에게 쓰였으면 좋겠다.

/민성욱 전주국제영화제 공동집행위원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