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잼버리 파행 책임론을 둘러싸고 설전을 벌인 김윤덕-정운천 의원이 주목을 받았다. 일차적 책임자로 김 의원을 겨냥해 책임지는 자세를 보이라고 정 의원이 먼저 포문을 열었다. 잼버리 5명 공동위원장 중 유일하게 조직위 구성 때부터 직에 머물렀던 김 의원이야말로 책임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김 의원도 싸울 때는 피하고 생색만 낸다고 정 의원을 반격했다. 문제의 핵심을 관통한 이들의 입씨름은 본질을 흐리는 잼버리 책임 규명에도 여론을 환기시켰다는 점에서 고무적이다. 새만금 예산 칼질의 후폭풍에 휘말려 수면 아래 잠복돼 있던 뇌관을 건드린 셈이다.
잼버리 파행과 관련 김 의원은 공동위원장으로서 사과를 했으며, 국정조사가 시작되면 모든 걸 밝히겠다는 입장이다. 일각에선 현실적으로 어려운 전제조건을 내세워 예봉을 피해갔다는 지적이다. 극한 대치로 사사건건 충돌하는 여야 관계를 감안하면 국정조사는 쉽지 않다는 전망이다. 이런 상황에서 애꿎은 새만금이 덤터기를 쓰며 예산 폭탄을 맞자 정 의원이 ‘원조 책임론’ 을 꺼내며 분위기 반전에 나선 것. 조직위 중심에 있던 김 의원이 삭발 코스프레 대신 책임을 통감하고 사퇴함으로써 수렁에 빠진 전라북도를 구해내야 한다는 주장이다. 그러면서 정 의원 자신이 2011년 LH 전북 이전 무산 때 석고대죄 심정으로 함거를 탄 것처럼 김 의원도 그에 상응하는 모습을 보이라고 저격한 것이다.
정치권이 예산 투쟁을 벌여야 하는 상황에서 ‘잼버리 책임’ 공방이 자칫 정략적으로 비칠 수 있으나 결국은 피해갈 수 없는 문제다. 잼버리가 잘못됐으면 원인 규명과 책임 소재를 밝히는 건 당연하다. 헌데 무슨 이유인지 타깃이 새만금으로 급선회하면서 전방위 공세 속에 혼란만 키운 꼴이다. 정 의원이 원조 책임론을 앞세워 김윤덕 의원을 전격 소환한 건 사면초가에 놓인 전북의 출구 전략으로 풀이된다. 새만금 문제와 잼버리 파행을 분리함으로써 전북 원죄(原罪)론의 실체가 없음을 밝히려는 것이다. 무더위, 침수 문제를 비롯해 병해충, 비위생, 안전 등은 역대 잼버리 때마다 논란을 일으킨 단골 이슈다. 과거에도 온열 환자, 식중독은 물론 심지어 사망사고까지 발생했다. 문제는 이처럼 예견된 논란을 충분히 인식하고 대처할 수 있었는데 그렇게 하지 못했다는 것, 즉 조직위 운영의 총체적 부실 탓이다.
잼버리에 대한 감사원 현장 감사가 11월 중순까지 진행된다. 조직위와 유관 기관 운영 실태를 포함해 예산 집행의 잘잘못을 가리는 절차다. 그런데 지난주 공동위원장 중 여가부, 문체부 장관이 경질되고 행자부 장관은 탄핵 국면에서 늦게 복귀해 면피 가능성마저 흘러나온다. 이 상황에서 어쩌면 가장 주목받는 건 공동위원장으로 지역 출신인 김윤덕 의원이다. 그가 잼버리 파행 때 잠행을 거듭하자 곱지 않은 시선이 쏠린 것도 같은 맥락으로 발끈할 일이 아니다. 김영곤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