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유아 방아요. 어유아 방아요”
23일 오후 4시 전주 동헌.
이곳에선 화려하지 않지만 정감 있고 담백하면서도 구수한 소리로 조상현 명창의 심청가가 울려 퍼졌다.
올해 전주세계소리축제가 야심차게 내세운 국창열전 완창 판소리 무대는 “구관이 명관이다”는 말이 들어 맞았다.
김일구(적벽가), 김수연(수궁가), 정순임(흥보가), 신영희(춘향가), 조상현(심청가) 명창이 한옥마을에서 노장은 살아있다는 듯 한바탕 판소리를 펼쳐 귀명창들의 열띤 호응 속에 성황을 이뤘다.
무대 배경이 된 전주 동헌은 한옥마을 특유의 멋스러움과 함께 깊이 있는 우리 소리가 어우러져 진한 풍미 가득한 차 한잔을 마시는 듯한 느낌을 선사하기에 충분했다.
전주세계소리축제는 한국소리문화의전당이 주 무대였으나 경계의 선을 허물려는 것처럼 이번 국창열전은 특이하게도 전주 한옥마을에서 관객들을 맞았다.
과연 관객들이 모일까. 그리고 관객들과 소리꾼은 얼마나 신명나는 무대를 만들까 고민과 의구심이 엄습한 가운데 국창열전은 회를 거듭할수록 궁금증이 느낌표로 바뀌게 만들었다.
일단 소리의 공력은 명창들이기 때문에 의심할 나위가 없었다.
다만 고령인 명창들이 많았기에 무대를 열기 전에 판소리 아카데미로 예열을 하고 본격적인 소리판에 참여할 수 있게 했다.
특히 국창열전의 대미를 장식한 조상현 명창의 심청가는 주말 한낮의 가을 정취와 절묘하게 합을 이뤘다.
조금 뜸을 들이는 것마냥 제자의 무대가 진행된 뒤 모습을 드러낸 그는 재담과 좌중을 압도하는 카리스마로 한시도 눈과 귀를 뗄 수 없게 했다.
조상현 명창은 “옛날엔 극장이 없으니까 동헌처럼 방안에서 소리를 했다”며 “꽃도 잎도 떨어지고 가지만 남은 몸이지만 소리는 곰삭아야 맛이다”고 말했다.
김희선 전주세계소리축제 집행위원장은 “전통의 원형을 오롯이 담아낸 국창열전이 소리축제의 근간이 되는 대표 전통 브랜드 공연으로 자리 잡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