햇볕이 좋은 계절입니다. 해마다 이 맘 때면 여기저기서 국화전시회가 열리지요. 그만큼 국화는 한국인의 삶에, 정신에 깊숙이 들어와 있습니다. 그래서인지 한국인이 좋아하는 시를 선정하면 꼭 빠지지 않는 시가 있습니다. 바로 ‘국화 옆에서’입니다. 제가 고등학생 시절 교과서에도 수록되어 있었는데요. 1956년에 발표된 미당 서정주의 작품입니다.
미당만큼 한국 근현대 문학사에서 논란이 많은 시인도 드뭅니다. 그가 가진 문학적인 재능과 성과만큼이나 친일과 친독재의 논란도 두드러지기 때문인데요. 그 때문인지 요즘은 교과서에서도 거리의 시비에서도 미당의 흔적을 찾아보긴 쉽지 않습니다.
미당은 1915년 고창군 부안면 선운리에서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인촌 김성수 선생의 댁에서 소작인들을 관리하는 마름이었습니다. 그의 시 자화상에는 ‘애비는 종이었다.’라는 구절이 등장하지요. 하지만 마름과 종은 천지 차이입니다. 조정래 작가의 소설 ‘아리랑’을 통해 마름의 역할을 엿볼 수 있는데요. 지주를 대신해 소작료를 징수하거나 소작을 떼거나 붙여주는 일을 합니다. 그러니 빈민이라고 할 수는 없지요.
그 덕분인지 미당은 줄포에 있는 공립학교를 졸업하고, 1929년 서울의 중앙고등보통학교에 입학했습니다. 그 시절 보통의 시골 사람보다는 훨씬 더 높은 배움의 기회를 얻게 된 것이지요. 그는 1929년 11월에 일어난 광주항일학생운동에 참여했다는 혐의로 체포되었다가 풀려났습니다. 하지만, 다음 해 1주년 기념 운동을 주도한 혐의로 구속되어 퇴학당하고 말았지요. 1931년 고창고등보통학교에 2학년으로 편입했으나 일본 교육과 시험을 거부하는 사건을 주동해 자퇴를 하게 됩니다. 이런 사실들을 보면 그도 학생 시절에는 나라 잃은 설움을 딛고 일어서고자 하는 똑같은 조선 학생이었던 것 같습니다.
1933년부터 기고 형식으로 시를 발표하던 미당은 1936년 동아일보 신춘문예를 통해 등단하게 되는데요. 1940년대 들어 친일 행적을 보입니다. 그는 해방 후에도 여전히 활발한 활동을 하였는데요. 1987년에는 당시 대통령이던 전두환의 56세 생일을 기념하는 축시를 발표하는 등 친독재 논란에 휩싸이게 됩니다. 이런 행적으로 인해 시류에 편승하는 성향을 가졌다고 평가되기도 합니다.
서울시 관악구 남현동에는 1968년에 조성된 예술인 마을이 있습니다. 그 동네 한켠에 ‘서정주의 집’이 있는데요. 미당이 1970년부터 2000년까지 살았던 집입니다. 70년대 중산층이 살았던 전형적인 2층 양옥집인데요. 봉산산방(蓬蒜山房)이라는 이름이 함께합니다. ‘쑥과 마늘의 집’이라는 뜻에서 단군신화를 모티브로 삼았다는 것을 짐작할 수 있지요. 이 집에는 미당의 두상과 직접 붓으로 쓴 국화옆에서, 그의 생애를 관통하는 사진, 미당이 쓰던 생활용품 등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전에는 그의 시비가 여러 군데 있었는데요. 서울 금천구 은행공원, 부천시 상동 보행자 거리, 이천시 설봉공원 등이 대표적입니다. 하지만 그의 친일행적으로 인해 현재는 모두 철거되어 땅 속에 묻히는 운명에 처해졌지요.
호랑이는 죽어서 가죽을 남기고, 사람은 죽어서 이름을 남긴다고 합니다. 미당은 죽어서 ‘서정주’라는 이름을 남겼습니다. 친일, 친독재라는 평가도 함께였지요. 역사적 평가는 시대에 따라 변한다고 합니다. 그렇다면 미당의 시비도 그 이름과 함께 다시 설 수 있을까요.
/양중진 변호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