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도관 출신이 본 <지리산 둘레길>은

김천수 작가의 20여일 지리산 둘레길 기록
도보길 상세한 안내와 주변 역사, 문화, 삶까지 담아

김천수 씨

30여 년 갇혔던 교도소를 벗어나 지리산에 말을 걸었다. 그것도 건성이 아닌 속 깊은 마음으로다. 대전교정청장을 끝으로 공직에서 은퇴한 김천수 씨가 <지리산 둘레길>을 펴냈다. (밥북).

`길에서 길을 찾다` 부제를 단 이 책은 저자가 지리산 둘레길을 걸으며 느낀 소회들을 진솔하게 풀어낸 여행서이자 에세이다. 저자는 평직원 일 때 시간이 문제였고, 관리자 때는 자리가 문제여서 마음뿐이었던 지리산 둘레길을 은퇴 후 비로소 들어설 수 있게 됐다고 서문에서 밝히고 있다.

이 책은 저자가 남원을 시작으로 경남 하동과 산청, 하동, 전남 구례를 거쳐 다시 남원으로 이어지는 전 구간 21개 코스 287km를 22일에 걸쳐 순례한 기록이다. 코스별 자세한 안내와 특이 사항을 소개하고, 둘레길 주변 마을에서 만난 농산촌의 풍경과 주민들의 살아가는 속살까지 담고 있다.

`피바위에 서면 전설과 신화도 역사적 사실이 된다`(운봉∼인월 구간), `지리산 둘레길의 첫 싹이 움튼 곳`(인월∼금계 구간), `도마마을 다랑이논과 지리산 마지막 비경 칠선계곡`(도마마을∼벽송사), `현대사의 아픔과 상처를 보듬고 치유하는 길`(동강∼수철), `경호강과 연인 되어 함께 걷고 흐르는 길`(수철∼성심원), `섬진강과 인사를 나누다`(삼화실∼대축), `사하촌에 부처님은 아니 계시고`(가탄∼송정), `명당은 터가 아닌 배려와 상생의 정신에 있는 것`(난동∼오미), `산수유 같은 단심의 사랑을 꿈꾸거든` (산동∼주천).

순회 일자 별로 일목요연하게 이렇게 정리된 책은 지리산 둘레길이 단순 여행이 아니라 역사와 문화, 현재의 삶을 현장 사진과 함께 생생하게 보여준다.

"세상은 우리에게 더 높이 오르고 더 많이 가지도록 유혹하며 더 빨리 달릴 것을 강요한다. 그렇게 달리다 보면 어느 순간, 나는 지금 내 걸음으로 내 길을 가고 있는가, 남을 따라 허겁지겁 쏠려가고 있는 것은 아닌가."

지리산 둘레길에 들어선다는 것은 바로 자신의 삶을 향한 성찰과 순례의 여정에 몸을 싣는 일로 본 저자는 이 책이 누군가가 둘레길로 들어서게 하는데 불쏘시개 역할을 했으면 좋겠다는 바람을 나타냈다.

저자는 익산 원광고와 전북대 법학과를 졸업했으며, 대전·대구·광주교도소장과 서울구치소장을 역임했다. 교도관 시절 경험담을 에세이집 <담장 안의 풍경>으로 풀어내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