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임 최준열 전라북도농업기술원장 "전북 농업 전초기지될 것"

8월 8일 제21대 전라북도농업기술원장 취임
취임식 생략하고 농가 현장 파악에 최일선

최준열 제21대 전북농기원장

"농도 전북에 맞는 농업 정책과 발전을 이끌어 내 풍요로운 전북을 만드는데 주력하겠습니다."

지난 8월 8일 새롭게 취임한 신임 최준열 제21대 전라북도농업기술원장의 각오다.

그동안 주로 연구소에서 근무를 해왔던 최 원장은 취임 이후 두 달간 현장에 있는 전북 농업 현안 파악에 집중하고 있다.

그는 "평상시에 생각했던 농업에 대한 생각과 실제 농업 현장과는 일부 다른 모습들이 있었다"면서 "생산 부분에 많은 정보를 갖고 있지만, 연구뿐만 아니라 지도와 기술 보급 분야에도 많은 활동을 할 수 있다는 부분을 알게 됐다"고 전했다.

최준열 원장은 별도의 취임식을 생략하고 부안군 가루 쌀과 논콩 생산지의 침수 피해 현장을 찾아 피해 농가의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본인의 취임보다 집중호우로 인한 피해 농가를 살피는 것이 먼저였다는 설명이다.

아울러 지난 7월 집중호우로 도내 곳곳에 수해 피해가 발생했기에 농업 현장에서의 문제가 무엇인지, 피해 복구가 최우선이라 판단했다.

전주 출신인 그는 전북에 대한 애정도 남달랐다.

최 원장은 "고등학교 졸업 이후 전북을 떠났었지만 마음에는 항상 고향에 대한 그리움이 있었다"며 "그동안 배운 농업을 어떻게 하면 장점으로 전환해 우리 전라북도가 잘 살 수 있을까라는 생각을 많이 해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농업기술원장이라는 이번 좋은 기회를 부여받게 되어 영광이고, 개인적으로 생각했던 부분과 전문가분들의 조언을 접목시켜 좋은 결과를 내보겠다"고 피력했다.

그는 "전라북도농업기술원은 전북 농업에 전초 기관으로서 지역에 맞는 농업기술을 연구 개발해 지역에 적용, 농업인들에게 보급하는 기관이라 생각한다"며 "생산과 더불어 부가가치를 높이는 가공 측면을 강화하고, 농어민들에게 더 많은 소득이 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농도 전북이라는 이미지가 고착화되어 급박하게 바꿀 수는 없겠지만, 그동안 1차 산업이 중심이었다면 2차, 3차로 발전시켜 농업이 갖고 있는 새로운 가치를 조금 더 증대시킬 수 있는 활동을 강화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전북에 있는 농촌진흥청, 한국농업기술진흥원, 식품산업 클러스터 등 농생명산업에 핵심이 되는 기관들과 유기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