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안군은 11일 추수절을 맞아 풍요를 비는 마이산신제를 봉행했다.
마이산은 고려 장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는 데 하늘의 계시를 받았다는 전설을 갖고 있는 영산이다. 마이산산신제는 신라시대부터 거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국행제(國行祭)를 시작으로 조선 태종 13년 태종이 남행했을 때 관원을 보내 관청 주관으로 춘추에 올리게 한 제사가 마이산신제다. 이 제사는 조선 후기 국정의 쇠퇴로 한동안 중단돼 오다가 지난 1984년 진안군민의 날을 기하여 재개했다. 이후 해마다 진안군민의 날(10월 12일) 전날인 10월 11일 마이산 남부 은수사에 위치한 산신제단에서 제를 올리고 있다.
올해도 11일 은수사에서 국가 안위와 군민 안녕을 기원하는 마이산신제가 엄숙히 거행됐다. 이날 제사에서 초헌관은 전춘성 군수, 아헌관은 김민규 군의회 의장, 종헌관은 전용태 전북도의원이 각각 맡았다.
제사에는 마이산신제전위원 대부분과 진안군민, 관광객 등 150명가량이 함께했다.
전춘성 군수는 “군민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하는 마이산신제를 통해 모두 화합해야 한다”며 “군청 공직자들은 새로운 시작으로 성공시대를 열어가는 미래진안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진안군은 11일 추수절을 맞아 풍요를 비는 마이산신제를 봉행했다.
마이산은 고려 장군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는 데 하늘의 계시를 받았다는 전설을 갖고 있는 영산이다. 마이산산신제는 신라시대부터 거행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국행제(國行祭)를 시작으로 조선 태종 13년 태종이 남행했을 때 관원을 보내 관청 주관으로 춘추에 올리게 한 제사가 마이산신제다. 이 제사는 조선 후기 국정의 쇠퇴로 한동안 중단돼 오다가 지난 1984년 진안군민의 날을 기하여 재개했다. 이후 해마다 진안군민의 날(10월 12일) 전날인 10월 11일 마이산 남부 은수사에 위치한 산신제단에서 제를 올리고 있다.
올해도 11일 은수사에서 국가 안위와 군민 안녕을 기원하는 마이산신제가 엄숙히 거행됐다. 이날 제사에서 초헌관은 전춘성 군수, 아헌관은 김민규 군의회 의장, 종헌관은 전용태 전북도의원이 각각 맡았다.
제사에는 마이산신제전위원 대부분과 진안군민, 관광객 등 150명가량이 함께했다.
전춘성 군수는 “군민의 안녕과 평안을 기원하는 마이산신제를 통해 모두 화합해야 한다”며 “군청 공직자들은 새로운 시작으로 성공시대를 열어가는 미래진안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