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신정변과 강서구청장

일러스트/정윤성

“모든 권력은 총구에서 나온다” 중국 마오쩌뚱의 유명한 어록이다. 얼핏 들으면  '무력이 만능'이라는 식으로 이해하기 쉬운데 핵심은  "무력을 쥔 적 앞에서 공리공론보다는, 똑같이 무력으로 맞서야 한다"는 의미다. 그랬다. 동서양을 막론하고 역사의 변곡점마다 현실적인 힘은 승패를 가르곤 했다. 대한민국에서 문인이 아닌 무인이 집권했던 뚜렷한 시기가 두번 있었다. 고려 중기 소위 무신정권 약 100년과 1961년 5.16 쿠데타와 12.12, 5.18로 이어지는 약 30년의 통치기가 바로 그것이었다. 이후 대한민국은 혼란과 진통은 있었지만 문민통치의 전통을 이어가고 있다. 무신정권은 고려시대 의종 24년(1170)부터 원종 11년(1270)까지 100년 동안 무신이 수립한 고려시대 정부를 말한다. 무신의난 이후 고려 왕조의 엘리트층과 지식인층은 살아남으려면 무신정권의 휘하로 들어가거나 숨어야했다. 결국 고려를 지탱해온 엘리트층이 붕괴됐고 정권의 무능과 부패, 민란과 몽골의 침공으로 점철된 도탄의 역사 100년 이었다. 삼국사기를 펴낸 김부식의 아들 김돈중이 정중부의 수염을 불태운 사건에서 알수 있듯 일부 문신들이 맞아죽을 짓을 한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한국의 군사정권은 쿠데타로 집권한 자신들을 정당화 하기위해 무신정변을 차별받는 군인들의 정당한 궐기로 포장하기도 했다. 1980년대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에는 의종과 마셔라 부어라하며 어울리는 문신들과 개고생하는 무신들을 삽화로 묘사했다. 무신정권이 종식된지 무려 753년이 지났고, 현대사에서도 군사독재가 종식된지 한 세대 이상이 지났다. 그런데 요즘 정치권 안팎에서 심심치 않게 무신정권 운운 하는 표현이 등장한다. 국민의힘 이언주 전 의원은 "문재인 정부때 통합과 개혁의 리더십을 보였어야 하는데 그때 또 검찰가지고 적폐수사를 계속했고, 정권이 다시 바뀌었지만 또다시 검찰 수사가 정치 전면에서 계속되면서 검찰총장, 법무부장관 이런 분들이 정치 전면에서 계속 스포트라이트를 받고, 그분들이 내뱉는 말들이 신문의 헤드라인을 장식하고 있다"며 "정말 망국의 길이다. 이것은 거의 무신정권이다. 이것은 나라가 망해갈 때 이런 일들이 생긴다"고 비판했다. 이에대해 국민의힘 중앙윤리위는 '주의 촉구' 징계를 결정했다. 앞서 송영길 전 대표는 검찰청 입장을 거부당한 뒤 건물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검찰을 "고려 말 무신정권의 머슴, 노비, 사병 같은 모습"라고 비판하기도 했다. 평소 같으면 아무런 관심도 끌지 못했을 서울 강서구청장 재보궐 선거가 10월 11일 치러졌다. 공교롭게도 이날은 무신정변이 일어난 날과 똑같은 날이다. 서울 25개 구청장 중 하나일 뿐인 강서구청장 선거에 여야가 무신정권 운운하면서 극렬하게 맞대결을 펼쳤다. 내년 총선을 앞두고 강서구청장 선거 결과가 내뿜는 함의는 결코 사소해 보이지 않는다. 위병기 수석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