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지역 취업률이 높아지고 있지만, 청년 취업은 낮고 비임금·일용직이 많은 농업 취업이 제일 많은 것으로 나타나 양질의 일자리 확충이 요구되고 있다.
17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상반기 지역별고용조사에 따르면 전북지역 올 상반기 취업자 수는 98만 명이다.
지난 2021년 상반기는 94만 8000명, 2022년 동기간 97만 6000명으로 최근 3년간 소폭 상승세다.
산업분류별 취업자 규모를 살펴보면 농업이 16만 3000명으로 가장 많았고, 사회복지 서비스업이 8만 4000명, 음식점 및 주점업이 6만 8000명으로 뒤를 이었다.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울산, 경기 등 수도권 및 대도시의 경우 소매업,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 교육서비스업 등이 취업분야 상위권에 공존하는 것과 대조적이다.
특히 농업, 임업 및 어업 분야는 타산업 분야와 달리 비임금 근로자 비중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전국 비임금 근로자의 22%가 농업 분야 취업자로 압도적인 선두다.
도내에서 2순위로 취업률이 높은 사회복지 서비스 분야도 임시·일용 근로자 비중이 높다. 전국 취업자의 15.3%다.
타지역과 비교해 대기업이 적고 고령화가 심한 전북지역 특성에 따라 농업, 사회복지, 자영업 분야의 일자리와 취업이 많지만, 그만큼 고용이 불안정한 임시·비임금 취업자도 많다는 의미다.
최근 3년간 도내 취업자 수는 소폭 증가했으나, 취업분야는 동일한 경향을 보이고 있다. 게다가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상·하반기 청년고용률 상위권은 모두 서울, 인천 등 수도권이 차지했고, 전북은 17개 시·도 중 최하위권이었다.
이에 도내 청년을 위한 양질의 일자리 확대 필요성이 반복해서 요구되고 있다. 전북도가 취업자수 100만 명 돌파를 목표로 하지만 일자리 생성뿐만 아니라 상용근로자 확대, 청년들을 신산업 일자리 창출 등에도 신경써야 한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