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스카상까지 수상한 영화 ‘기생충’이 촬영된 전주의 영화 및 영상 산업을 육성할 특구조성이 필요하다는 제안이 나왔다.
전주시의회 장병익 의원(완산동, 중화산1동, 중화산2동)은 20일 열린 405회 임시회 2차 본회의 5분발언을 통해 “전주는 영화종합촬영소, 버추얼스튜디오, 사운드댐 등 영화 제작부터 후반작업까지 모두 가능한 원스톱 제작시스템을 구축, 상용화하고 20년 넘게 꾸준한 투자가 이뤄졌지만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산업’으로 도약하지 못하고 있다”며 “전주 영화·영상 산업 특구(클러스터)를 조성해 관련 산업을 키워야한다”고 제언했다.
장 의원에 따르면 콘텐츠 산업은 한국 경제의 새로운 ‘게임 체인저(어떤 일에서 결과나 흐름의 판도를 뒤바꿔 놓을 만한 중요한 역할을 한 인물이나 사건)’로서 그 가능성이 부각되고 있다.
한국수출입은행이 발표한 ‘K-콘텐츠 수출의 경제 효과’에 따르면 1400억원의의 K-콘텐츠 수출은 7000억원의 파급효과와 약 3000명의 취업 유발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
특히, K-콘텐츠 열풍이 글로벌 OTT 서비스(Over-the-top, 영화, TV 방영 프로그램 등의 미디어 콘텐츠를 인터넷을 통해 소비자에게 제공하는 서비스)를 중심으로 전 세계를 강타하면서 K-콘텐츠 산업의 영향력과 위상은 더욱 높아지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장 의원은 시가 ‘영화·영상산업’을 집중 육성하기 위해 △ 영화·영상 관련 스타트업과 프로젝트 발굴 및 집중 투자 △전주 영화·영상 산업 창업 생태계 구축 △ 전주국제영화제가 세계 7대 영화제로 진화할 수 있는 집중 투자 지원 등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장 의원은 “문화도시 전주가 글로벌 K-콘텐츠의 중심도시로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기회가 지금 우리 앞에 놓여 있다”며 “핵심은 과감한 투자를 통한 영화․영상 산업 특구(클러스터) 조성이며, 이를 목표로 향후 5년 후 대형 국책사업까지 이끌어 낼 수 있는 전주만의 담대한 도전을 제안드린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