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만금은 건국 이래 최대 간척지 사업입니다. 새로운 개념의 새만금 박물관이 새만금의 미래와 비전을 가지고 성장하는 한 축이 되어 세계적인 관심과 희망을 제시했으면 좋겠습니다."
이달 '2023 전라북도 건축문화상' 사용승인부문 공공분야에서 '국립새만금 간척박물관'을 설계해 대상을 수상한 전주 길종합건축사무소 이길환(61) 대표.
이번 건축문화상에서 국립새만금 간척박물관은 수평적 공간의 흐름 구축과 내·외부 공간 확장으로 순환형 전시 공간을 계획한 점에 높은 평가를 받았다.
올해 8월 7일 정식 개관한 국립새만금 간척박물관은 새만금의 미래를 담아 설계한 작품이다. 건축문화에 대한 관심을 높이고 나아가 새만금에 대한 세계적인 관심을 갖게 해야겠다는 의지가 반영됐다.
이 대표는 "새만금 박물관은 기존 박물관들처럼 단순히 역사 유물을 보존하거나 전시하는 공간이 아닌, 과거의 비전 그리고 미래의 모습들이 적층되는 현재진행형 박물관으로서 성장하는 세계적인 새만금 도시와 소통하는 도시적 맥락을 가지고 준비된 박물관"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전북을 대표하는 건축물을 넘어 세계적 관심을 끄는 건축물이 되길 기대한다"며 "새만금의 미래가 보이는 시작점이 되길 희망한다"고 전했다.
그는 건물 디자인 계획 단계에서부터 많은 시간과 공을 들였다. 새만금은 희망과 미래의 땅이라는 이유에서다.
국립새만금 간척박물관에 대해 "주변 경관이 남다르고 한 폭의 그림과 같은 변산반도 국립공원이 아름답게 감싸고 있다"면서 "내부 전시는 간척의 과학적 원리와 가치를 체험하고 새만금의 미래 가치를 알리는 공간이다"고 말했다.
이어 "갯벌 형성부터 국내외 간척사례 전반을 담은 간척 박물관이다"며 "대지의 앞쪽과 뒤쪽의 다른 경사를 이용해 건물이 땅속에 박히는 느낌의 생태 건축물 디자인 컨셉을 고려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진입구 쪽 로비 상부는 국내기술로는 쉽지 않은 붕 떠 있는 구조와 압도적인 규모를 만들어 주고 있고, 외부 재료 또한 간척 갯벌과 이미지와 비슷한 송판 노출 콘트리트를 적용했다"고 말했다.
마지막으로 이 대표는 "새만금 박물관을 알리기 위해 지금부터 내년도 한국건축문화대상에도 출품 준비를 하고 있다"며 "수상에 감사한 마음을 전하며, 새만금의 자랑이 되는 건물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다"고 피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