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가 무상교통을 도입해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다.
진보당 강성희 국회의원은 지난 20일 전북도의회 브리핑룸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가계부담을 줄이고 환경도 살리는 무상교통 정책, 이제는 전주시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때”라고 밝혔다.
강 의원에 따르면 연령 제한이 있지만 대중교통 요금을 전액 또는 일부 지원하는 국내 지자체가 늘고 있다. 광역단체 중에서는 충남이 전국 최초로 75세 이상 어르신과 6~18세 어린이·청소년을 대상으로 버스요금 무료화를 시행했다. 경기도는 13세~23세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 12만원의 교통비를 지원하며, 화성시는 6세~23세 어린이·청소년과 65세 이상 어르신을 대상으로 무상교통을 시행중이다. 전남 13개 시군도 청소년 100원 버스를 시행하고 있다.
전북은 전주, 익산, 군산, 완주를 제외한 10개 시군은 시내버스 요금이 어린이·청소년 500원, 성인 1,000원이다. 특히 군산시는 올해 12월부터 중·고생 무상버스를, 익산시는 내년부터 어린이·청소년 100원 버스를 시행할 예정으로 이제 전주, 완주만 남았다는 게 강 의원의 설명이다.
강 의원은 “무상교통 정책은 가계부담 완화, 대중교통 활성화, 탄소 배출 감축, 이동권 보장 등 여러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면서 “세계 주요 국가들이 시행하는 혁신적인 정책이자 국내 여러 지자체가 시행하는 정책으로 전주시도 적극적으로 검토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