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교육청이 학생들의 학력 신장을 위해 ‘초등 학생평가 개선’ 방안 모색에 나섰다.
26일 전북교육청에 따르면 전북교육정책연구소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23일까지 교원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초등 학생평가 인식도 설문조사를 진행했다.
코로나19 이후 초등학생 기초학력 저하가 심화됐고, 학생 평가 전반에 대한 개선 방안과 맞춤형 학습지원이 필요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이다.
이번 설문조사에는 교원 807명과 학부모 2457명 등 3264명이 참여했다.
조사결과 학부모는 50.1%, 교원의 경우 50.4%가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또 교원의 56.3%와 학부모 54.9%가 현재 과정중심의 평가방법의 변화가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평가의 목적은 ‘학생의 학업 성취 수준을 파악’을 최우선으로 꼽았고, 평가 결과 통지는 ‘학생 특성 서술형과 단계 척도형을 복합적으로 기술’이라는 응답이 교원과 학부모의 모두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전북교육청은 설문조사 주요 내용을 분석하고 11월 중 교육현장 전문가들과 토론회와 공청회를 거쳐 초등 학생평가 개선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내년부터 시행되는 ‘2022 개정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학습자 자기주도적 역할에 집중하고, 학습부진을 적기에 발견해 맞춤형 학습지원을 제공해 나갈 방침이다.
하지만 일각에선 이번 설문 조사가 편향됐고 중간·기말고사 부활이라며 신중해야 한다고 우려했다.
전교조 전북지부는 “전북교육청은 학부모와 교원들로부터 ‘문항이 편향적으로 구성됐다’는 항의를 받았음에도 수정하지 않고 밀어붙이는 등 편향적 설문조사를 실시했다”면서 "중간·기말고사 부활을 ‘학업성취도평가’라는 말로 포장해 무조건 시행하는 것을 전제로 문항을 구성한 것은 큰 문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전북교육청은 “이번 설문은 학생평가에 대한 찬반을 물어본 것이 아니라 평가를 시행하는 것을 목적으로 현장의 의견을 수렴하기 위한 조사였다”며 “과열 경쟁 예방을 위해 평가 결과는 해당 학생과 학부모에게만 제공하는 등 일제고사와 서열화에 대한 부분은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