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기후·전염병 등으로 매년 과수 피해가 늘고 있는 가운데 농촌진흥청이 개발한 사과 무병 묘목으로 교체하면 수확량·상품성을 높여 농가 소득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농촌진흥청은 ‘홍로’ 기준 사과 무병묘를 재배하면 일반 묘목 재배 농가보다 10아르당(a) 82만 원의 소득을 더 높일 수 있다고 30일 밝혔다.
무병묘는 바이러스 무병화 과정(열처리 등)을 거친 묘목 또는 특정 바이러스(5과종 17종)에 감염되지 않은 것이다.
국립원예특작과학원에 따르면 국내 사과 과수원의 바이러스 감염률은 97.3%이고 대부분 2~3종 바이러스에 복합 감염돼 있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과일 무게와 당도 감소, 색들임(착색) 불량 등으로 농가 소득에도 타격을 준다.
반면, 무병묘에서 생산되는 과일은 일반 묘목보다 생산량은 약 10%, 상품성은 38.7% 높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진청은 사과 묘목 대체에 따른 농가 소득 등 경제효과를 분석했는데, 2045년까지 전국 사과 과수원이 무병 나무(성목)로 대체된다고 가정하면 누적 소득 1조 8600억 원에 이른다. 또 종자산업 등 관련 분야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생산유발효과 5152억 원, 부가 가치 증대 효과 2394억 원, 취업유발 효과 1만 3230명으로 분석됐다. 농진청이 최근 5개월간 실증 연구, 농가(20개소) 현장 조사, 무병묘 보급률 전망, 산업연관모형을 활용해 얻은 예측결과다.
농촌진흥청 국립원예특작과학원 과수과 전지혜 과장은 “이번 연구는 무병묘에 대한 인식이 저조한 과수 농가에 소득증진 효과를 과학적으로 증명해 알리고, 사회적 가치 유발 측면에서 무병묘의 우수성을 확인시킬 수 있는 결과”라며, “과수 농가가 먼저 무병묘를 찾고 선택해 품질 좋은 과일을 생산할 수 있도록 빠르고 안정적인 무병묘 생산과 관련 연구에 매진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