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 성인의 말에 의하면, 착한 일(善)을 행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복을 내리고, 악한 일(惡)을 행하는 사람에게는 하늘이 재앙으로써 갚는다고 하고 있다. 여기에 많은 선행을 베푼 명문가 봉소당(鳳巢堂)을 소개하고자 한다.
봉소당은 전남 여수시 봉강동 언덕에 아주 웅장하고 큰 한옥 저택이 나오는데, 여기가 봉소당이다. 그리고 봉소당은 몇 년 전에 <가문의 영광>이라는 영화를 촬영했던 곳으로도 유명한 곳이다. 이 봉소당은 영광 김씨 집안의 건물로, 영광 김씨의 종손인 김한영 씨가 지었고, 현재는 한영대학교 이사장인 김재호 씨의 소유로 되어있다. 김한영은 거대한 부자(1만2000석)로, 가난한 과객대접에 후했다고 전해진다.
많은 소작인들은 자식을 먹여 살리느라 소작료를 제 때에 내지 못하는 일이 비일비재하였다. 그것을 본 김한영은 처지가 딱하다고 해서 그냥 눈감아주면 다른 소작인들이 왜 그 집만 봐주느냐고 항의할 것을 예상하고 그 방법의 하나로 자식이 많은 어려운 소작농에게 수백 가마의 쌀을 배에 싣고 내리는 하역 작업을 시켜 그 대가로 소작료를 면제해줘 공평하게 여기도록 배려를 하였던 것이다.
지주(地主)인 김한영은 많은 소작인을 배려하면서, 많은 선행을 베풀어 인심 좋은 부자로 소문이 자자했다. 때는 1948년 10월에 여수, 순천 반란사건이 발생하였는데 당시 좌익세력의 반란군은 부자들을 즉결 심판하는 등 무소불위의 권력을 휘두르는 가운데, 반란군은 여천군청 2층에 사무실을 차려놓고 책임자 1명과 호위병 2명으로구성된 심판정이 열렸는데 공교롭게도 대지주였던 영광 김씨 11대손인 김성환(1915-1975)이 제1착으로 끌려와 심판을 받게 되었다. 책임자인 심판관은 봉소당 토지를 소작하고 있던 소작농의 아들이었다. 당시 봉소당은 소작농이 가난해서 소작료를 내지 못하면 소작료를 탕감해주는 선행을 베푼 것을 평소에 알고 있었다. 그 심판관은 김성환에게 위해를 가할 수 없다고 생각하고 2명의 호위병들에게 너희들은 나가 있어라 명령을 내리며 김성환을 의자에 앉도록 하고, 심판관은 아무말도 하지 않고 신문(新聞)만 보고 있었다. 이런 침묵상태로 10분, 20분, 30분쯤 지날 무렵까지 심판관이 아무런 조치를 하지 않은 이유를 알아차리게 된 김성환은 아! 나더러 도망가라는 뜻이구나 하고 군청사무실 창문을 살며시 열고 물홈통을 타고 1층으로 내려와 도망하여 살아남게 되었다고 한다.
이렇게 대지주인 김성환은 생사의 갈림길에서 화를 면하게 되었다. 여기에 '적선지가(積善之家)에 필유여경(必有餘慶)'이라는 말과 같이 선한 일을 많이한 집안에는 반드시 경사가 일어난다는 말이 입증(立證)되었다할 것이다.
필자는 지난 2015년 5월경 봉소당을 방문하고 이사장을 면담하려 하였으나 마침 출타 중이어서 면담은 하지 못하고, 봉소당 관계자들과 대화를 나누고 온적이 있다. 이세상은 모든 것이 인과관계로 얽혀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앞에서도 선행을 쌓으면 하늘이 복을 내린다는 말과 같이, 봉소당은 어려운 과객을 후하게 대접하고 또 어려운 소작농의 소작료를 탕감해주는 등 선행을 많이 쌓아 불의의 화를 면하는 산 교훈을 우리에게 던져주고 있다.
/조현건 전 전북지방병무청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