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4년, 일본의 민간연구단체가 발표한 보고서 하나가 일본 열도를 충격에 빠뜨렸다.
마스다 히로야 전 총무상이 이끄는 일본 창성회의가 낸 일명 ‘마스타 보고서’다. 이 보고서는 2040년까지 일본의 절반에 해당하는 지방자치단체가 소멸한다는 경고를 담고 있다.
그의 예상대로 전 세계는 지금 출산율 감소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인구가 곧 국력이라고 하는데 저출산·고령화로 인한 인구감소 현상이 심화되면서 지방소멸 위기를 더욱 가속화 하고 있는 것이다.
지방소멸 위험지역은 ‘지방소멸 위험지수’에 따라 분류되는데, 이 지방소멸 위험지수는 20~39세의 인구를 65세 이상의 인구로 나눈 값이다. 다시 말해 청년인구가 없으면 지방의 미래는 없다는 뜻이다.
이 지방소멸의 위험이 심각한 지역 중 하나가 바로 장수군이다. 장수군은 2022년 기준 인구 수가 2만 1336명으로 전라북도에서 가장 인구가 적고 전국에서도 울릉군, 영양군, 옹진군 다음으로 인구가 적은 지자체로 지방소멸위기가 가장 심각한 지역이다.
인구감소 문제는 지금 당장 대책을 마련한다고 해서 해결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4차 산업혁명 시대에 맞게 지역의 자원을 적극 활용한 새로운 전략이 필요하다.
지난 11월 5일 장수군은 행정안전부에서 평가한 지역별 투자계획 평가에서 상위 5% 지역에만 주어지는 최고등급(S등급)을 받으며 지방소멸대응기금 144억 원을 확보했다.
지방소멸대응기금은 지역 인구감소와 지방소멸 위기 대응을 위해 지난해부터 10년간 매년 정부출연금 1조원(2022년은 7500억 원)을 재원으로 지원하는 기금으로기초 시·군·구(인구감소지역 89곳, 관심지역 18곳)에 75%, 광역 시·도(서울·세종 제외)에 25%를 각각 배분한다. 이 중 기초 시군구 배분 금액은 이들 단체가 제출한 투자계획을 평가해 차등 결정한다. 이 평가에서 장수군의 지방소멸 대응 계획이 최고등급을 받은 것이다.
장수군은 민선8기 출범 이후 지방소멸 극복을 위해 청년층을 대상으로 한 정책들을 발굴·추진하며 적극적으로 대응해 왔다.
청년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이 지역소멸 위기를 가중시키는 주요 원인으로 분석하고 청년 유입을 목표로 ‘유입과 정착, 유출감소’ 3단계 실천 전략을 수립하고 세부 계획으로 ‘청년 워라밸 농군사관학교’, ‘청년활력센터’, ‘장수 트레일빌리지 조성사업’ 등의 계획을 수립했다.
이중 ‘청년농군사관학교’는 서울과 같은 대도시에서 빡빡한 삶을 사는 것보다 자신만의 라이프스타일을 선호하는 MZ세대의 성향에 초점을 맞춰 지역특화 임대형 스마트팜을 조성사업과 연계해 워라밸이 있는 농업·농촌을 실현하기 위한 사업이다.
청년들은 임대형 스마트팜을 통해 농업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나아가 청년활력센터, 청년주택 ‘모람’ 등을 조성해 정주 여건도 개선하며 지방소멸 위기에 적극 대응해 나갈 계획이다.
또한 행정안전부 ‘로컬브랜딩 활성화 지원사업’에 천혜의 자연환경을 갖춘 장안산, 팔공산 주변을 생활권으로 한 ‘트레일 빌리지’ 사업계획을 제시해 최종 선정됐다.
이번 선정으로 최근 청년단체를 중심으로 펼쳐지고 있는 ‘트레일레이스’를 확장해 주기적인 대회 개최와 함께 청년 트레일 빌리지 테마거리와 광장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장수군은 미래 세대들이 마음 편히 아이를 낳고, 키우고, 살 수 있는 장수군을 만들기 위해 군은 앞으로도 중앙정부, 그리고 지역주민들과 함께 공동으로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다.
/최훈식 장수군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