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당 4억 5000만 원짜리 고군산 2층 버스 ‘헐값 매각’ 논란

시, 지난 2018년 9억 원 들여 버스 2대 구입
적자 폭 커지자 올해 매각⋯총 3100만 원 판매

고군산군도를 오가던 2층 버스/사진제공=군산시

군산시가 최근 애물단지로 전락한 고군산 2층 버스를 처분한 가운데 ‘헐값 매각’ 논란이 일고 있다.

시에 따르면 1년 넘게 운행을 중단한 고군산 2층 버스(2대)를 지난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2곳의 시내버스 업체에 매각했다.

이 2층 버스는 버스 상태에 따라 각 2400만 원, 700만 원에 팔린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시는 지난 2018년 2월 총 9억 원(대당 4억 5000만 원)을 들여 2층 버스 2대를 구입한 바 있다.

도내 최초로 도입한 2층 버스는 고군산 연결도로 개통에 맞춰 섬 주민들의 교통편의 개선과 함께 이색적인 체험 등 관광 활성화를 꾀하기 위해 추진된 사업이다.

2층 버스는 1층에 12석, 2층에 59석과 휠체어 대기공간인 접이식 좌석 2개까지 총 73석으로 구성돼 있다.

이후 버스회사 2곳에 각 1대씩 배치됐으며, 그 동안 비응항에서 장자도까지 운행돼왔다.

그러나 기대와 달리 갈수록 이용객이 줄어든 데다 유류비(경유) 및 유지보수비 등도 덩달아 상승하면서 적자 폭만 늘어났고, 급기야 운행까지 중단해야 했다.

사실상 (2층 버스를)도입한 지 얼마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시의 골칫거리로 전락한 것.

시는 그동안 시내버스 감축과 노선 변화를 통해 수익 구조 개선에 나서기도 했으나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자 더 이상 운행하는 것은 무의미하다고 판단, 결국 매각에 나섰다.

다만 2층 버스 구입에 9억 원이라는 막대한 사업비가 투입된 반면, 매각 대금은 3100만 원에 불과해 대표적인 예산낭비 사례로 남게 됐다.

여기에 2층 버스 도입에 따른 관광 효과도 미비하다보니 ‘실패작’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시의회에서도 2층 버스 매각과 관련된 질타가 이어졌다.

나종대 시의원은 행정감사를 통해 “사전에 치밀하지 못한 경제성 검증과 예상 문제점에 대한 검토, 부실한 관리 등으로 2층 버스가 큰 효과를 내지 못하고 매각 됐다"면서 “다시는 이런 사례가 반복되서는 안된다"고 전했다.

서동수 의원 역시 “2층 버스가 상대적으로 헐값에 팔리면서 예산 낭비라는 비난을 피할 수 없게 됐다”면서 "매각 절차에 있어 전자자산처분시스템(온비드)을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고 꼬집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적자폭이 매우 크고 엔진 결함 등 승객 안전 문제도 있다 보니 매각을 결정했다”면서 “경기도권 동일 차종 역시1500~2000만 원대 사이에 거래되다보니 고군산 2층 버스도 그 이상 받기가 쉽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이어 “고가의 차량이 저렴하게 매각된 것을 매우 아쉽게 생각한다"면서 "향후 이런 일이 되풀이되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