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회용품 없는 ‘친환경 장례문화’ 확산 기대

지구촌 기후위기 시대, 환경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그런데 정부가 최근 플라스틱 빨대와 종이컵 등 1회용품 사용 규제를 완화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환경정책의 후퇴’라는 질타의 목소리가 높다. 

이런 가운데 전주지역 일부 장례식장들이 1회용품 대신 다회용기를 무료로 제공하면서 친환경 장례문화 정착에 나서 눈길을 끈다. 앞서 전주시는 지역 4개 장례식장과 ‘1회용품 없는 장례문화 확산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들 장례식장에서 사용한 다회용기는 전주지역자활센터에서 운영하는 전주에코워싱을 통해 초음파 세척과 고온‧고압 세척을 한후 소독·살균 및 오염도 테스트 등을 거쳐 위생적으로 제공된다. 

사실 우리 사회에서 1회용품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곳으로 장례식장을 빼놓을 수 없다. 밥그릇과 국그릇·접시·수저·컵 등 몽땅 1회용품이다. 한 번 사용으로 수명을 다한 이들 용기는 1회용 비닐 식탁보에 싸여 아무렇게나 버려진다. 사회적으로 1회용품 줄이기 캠페인이 벌어질 때에도, 장례식장은 무풍지대로 남아 있었다. 게다가 대기업과 중견기업에서 회사나 노동조합의 로고가 인쇄된 1회용품을 앞다퉈 제공했고, 이 같은 관행이 당연한 사원복지로 인식되기도 했다. 여기에 정부기관이나 자치단체·공기업 노조에서도 조합원들에게 장례식장에서 쓸 1회용품을 무더기로 제공했다. 그러면서 전국 장례식장은 1회용품 천국이 돼버렸다. 결국은 지자체가 나섰다. 지난해부터 전국 각 지자체가 장례식장 다회용기 지원사업을 통해 1회용품 없애기에 앞장서고 있다. 전주시도 이 같은 움직임에 동참했고, 최근 그 성과가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장례식장에서 1회용품 대신 다회용기가 자리를 잡으려면 우선 유가족과 장례업 종사자들의 적극적인 참여가 필요하다. 또 장례식장에서 다회용기를 손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지자체의 정책적인 지원도 요구된다. 물론 ‘작은 불편이 환경을 지킨다’는 시민의식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울러 기업과 공공기관, 그리고 이들 기관 및 기업의 노조에서도 장례식장 1회용품 지원을 즉각 중단해야 할 것이다. 전주지역 4개 장례식장에서 시작된 1회용품 없는 친환경 장례문화가 전북지역 전체로 확산하길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