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가까이 탄소중립 모델구축 리모델링을 위해 휴관하고 있는 전주자연생태관의 사업지연을 질타하는 목소리가 전주시의회에서 나왔다.
지난 1월에 휴관한 뒤 행정절차 등의 문제로 공사시작도 안한 상태인데, 시의회는 전주시가 신규사업까지 신청했다고 지적하며 속도감있는 사업 추진을 촉구하고 있다.
전주시의회 온혜정 의원(우아1·2동, 호성동)은 지난 8일 열린 전주시의회 제406회 제2차 정례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 복지환경국 환경위생과 예산심사에서 “전주자연생태관 탄소 중립 모델 구축 사업이 애초 계획대로라면 내년 봄에 마무리돼 재개관을 해야 하지만, 아직 첫 삽조차 뜨지 못했다”고 지적하며 대책 마련을 주문했다.
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10월 환경부 공모사업에 선정돼 국비 80억 원을 확보, 전주자연생태관을 에너지 자립률이 높은 탄소 중립 모델로 탈바꿈시킬 계획을 세웠다.
시는 시비 20억 원을 추가 반영해 노후화된 내부 전시·콘텐츠를 체험형 전시 형태로 바꿔 내년 4월 재개관할 예정이었다.
하지만 문화재 심의 등 각종 행정 절차와 관계 업체 협의에 시간이 걸리다 보니 현재 사업이 지지부진한 상태로, 내년 4월 개관이 불투명해졌고 시는 내년 10월 이후로 재개관 시기를 잡았다.
온 의원은 “전주자연생태관이 고효율∙에너지 자립 건물로 변신을 위해 올해 초부터 1년 가까이 휴관했지만, 10월 20일까지 사업예산 집행률이 6%로 한 자릿수에 불과하다”며 “내년까지도 문을 닫고 공사를 진행해야 하는 상황이며 예산 또한 이월하는 불상사가 발생했다”고 지적했다.
특히 온 의원에 따르면 시는 사업이 지연되고 있는 상태에서 생태관 2층에 시비 확보 없이 신규 사업인 유아기후환경교육관 조성 사업을 신청했다.
사업 계획에 따르면 전주자연생태관의 조정된 재개관 예정일인 10월 이후에 공사가 진행돼 안전사고 문제 또한 우려되고 있다.
온 의원은 “해당 부서에서는 가림막을 쳐놓고 공사를 하겠다고 말하지만, 가림막으로 과연 방문객의 안전을 담보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안전보다 중요한 것이 없는 만큼 탄소 중립 모델 구축 사업과 유아기후환경교육원 준공 시기를 맞춰 안전이 담보된 상태에서 자연생태관을 재개관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사업에 대한 적극성을 바탕으로 철저한 검토와 이행계획을 수립해 사업을 속도감 있게 추진하라”고 당부했다.
한편, 지난 2008년 개관한 전주자연생태관은 지난해까지 158만명이 방문하는 등 명실상부한 전주의 대표 생태환경 전시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