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격적인 겨울철 단순 염화칼슘을 뿌리는 제설작업보다 주요 도로 곳곳에 열선을 설치해 눈과 얼음을 녹이는 방식이 눈길을 끌고 있다.
11일 전주시에 따르면 현재까지 전주시내에는 21개 주요 도로(완산구 15곳·덕진구 6곳), 총 연장 2.4km 구간에 열선이 설치돼 운영 중이다.
시는 지난 2014년 전주 효자동 동방아로채아파트 앞 공사를 시작으로 아파트, 학교, 병원, 지하보도 등 경사도가 큰 도로와 시민들의 통행이 잦고 빙판길이 형성돼 안전사고 우려가 큰 지역을 위주로 열선도로를 조성해왔다.
최근에는 완산구 삼천동 곰솔나무공원 일원 백제대로에 국비 10억 원을 투입해 400m 구간 3개 차선에 18줄의 열선을 설치했으며 도로 포장 공사 등 마무리 작업을 마치는 대로 올 겨울 폭설에 대비해 본격 가동할 예정이다.
이 구간은 매년 겨울 눈이 쌓이거나 빙판길이 됐을때 가파른 비탈로 차량들이 오도가도 못하거나 크고 작은 접촉사고가 빈번한 곳이다.
도로 열선은 주로 제설에 취약한 도로 경사 구간, 빌딩·아파트 주차장, 램프, 터널 출입구 등 교통사고 위험이 큰 지역에 설치하는데, 도로 포장면 아래에 열선을 설치하고, 강설시 도로 표면에 있는 센서를 작동해 도로에 쌓인 눈을 녹이는 방식이다.
이 시스템은 기존에 제설용으로 흔히 쓰이는 염화칼슘을 대체할 수 있어 친환경적이라는 장점이 있다.
염화칼슘은 금속류의 부식을 가속화해 차량 관리에 해가 될 수 있고 수분을 흡수하는 성질이 있어 토양과 수질 오염 등 자연환경에도 지장을 줄 수 있기 때문이다.
또, 강설 전후에 염화칼슘을 직접 분사하는 것보다 적은 인력으로도 대응할 수 있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혀 전국 여러 지자체에서 열선 설치를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전주시의 경우에도 도로 노면의 온도·습도를 감지할 수 있는 자동제어 센서와 탄소 재질의 발열선을 활용한 덕분에 기계나 장비가 진입하기 어려운 장소에서도 제설·동결 방지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때문에 갑작스러운 강설에도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다.
시는 비용적인 면에서도 경제적으로 시공하고 운용할 수 있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자동과 수동 방식을 병행해 운영하는 것인데, 열선 자동 작동에 따라 부과되는 전기료를 절약하기 위해서다. 현재는 기상예보에 따라 수동으로 운영하는 방식을 위주로 관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