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업체 파산과 위탁운영 업체의 재정 문제로 좌초 위기에 놓였던 '고군산 자율주행전기차 운행 및 모빌리센터 조성 사업'이 단기 계약이라는 돌파구를 통해 지속 추진될 것으로 전망된다.
이 사업의 위탁운영을 맡은 업체는 내년도 재정 및 신용평가 개선을 통한 지속 운영 의사를 내비치며 군산시와 합의점을 도출했고, 주무부처인 해수부 또한 사업계획연장을 통해 국비 반납 없이 사업 추진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보여서다.
온리원 고군산관광밸트 조성의 일환인 '고군산 자율주행전기차 운행 및 모빌리센터 조성 사업'은 옥도면 선유도리 산78-1번지 일원에 자율주행차 전용도로 및 관련 시설을 구축·운영하는 것으로 2019년 지역발전투자협약 시범 사업으로 국가공모에 선정됐다.
총 사업비는 45억 8000만 원(자율주행차 구입비 26억 3000만 원, 모빌리티센터 구축 등 19억 4000만 원)이다.
시는 2020년 26억 원을 들여 자율주행차 4대(관제시스템포함)를 구입하고, 고군산탐방지원센터에서 망주봉까지 왕복 1.6㎞ 구간에 자율주행차 전용도로를 구축해 무료 운행 해왔다.
그런데 지난 4월 자율주행차를 생산 납품했던 외국계 업체가 파산, 타 회사에 합병되면서 차량 서비스 등이 불가해졌다.
설상가상 시와 위탁운영 계약을 맺은 업체에 대한 신용평가 회계 감사 결과 재무 건정성 악화에 따른 ‘부적합 판정’을 받아 장기 계약은 불투명하다는 결론이 나왔다.
더욱이 국가공모 사업이다 보니 내년까지 사업이 정상 추진되지 않으면, 시는 잔여 국비 약 17억 원을 반납할 처지에 놓였다.
문제는 또 있다.
자율주행차와 연계해 신축 예정인 모빌리티센터도 불안정한 수익성, 예산 과다 소요 등 사업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점이다.
특히 위탁 후 수익성 저하로 수탁 업체가 운영을 포기하면 연간 약 8억 원(자율주행차 운영비 포함)에 달하는 센터 유지 및 관리에도 문제가 발생한다.
결국 시는 적정 업체가 나타날 때까지 현재 운영 업체와 6개월 단위 ‘단기 계약’으로 지속 추진하는 안을 제시했으며, 해당 업체는 이에 합의했다.
위탁운영 업체 관계자는 “지역 현안인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지난 5년 동안 군산에 자회사를 설립하고 연구개발에 매진하는 등 중장기적 관점에서 지속적으로 투자하고 있다”면서 “사업 유지 및 발전을 위해 자사 부지 매각, 자산재평가, 투자 유치와 최근 매출 성장을 기반으로 내년에는 재무 건전성을 획기적으로 개선하겠다”며 지속 추진에 강한 의지를 밝혔다.
시 관계자는 “사업 추진 중 불가항력적 악재가 겹치며 기존 모빌리티센터 신축 및 관련 콘텐츠 도입 등의 자율주행관련 계획 변경이 불가피하다”면서 “새로운 위탁업체가 선정되거나 현재 업체의 경영난이 개선될 때까지 단기 계약을 유지해 유지보수 등에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모빌리티센터는 고군산탐방지원센터 등 기존시설을 활용하는 방안을 검토, 불필요한 예산이 소진되지 않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