익산 고품질 친환경 쌀이 치밀하고 공격적인 마케팅 전략에 힝입어 대한민국 간편식 시장 흔들며 값진 성과를 일궈내고 있다.
13일 익산시에 따르면 지난 2017년부터 현재까지 주력하고 있는 기업 맞춤형 익산 쌀 장책을 통해 하림, CJ, SPC그룹(파리바게트), 본아이에프(본죽·본도시락) 등 대기업과 수도권 학교급식에 익산 쌀 총 21만 톤을 공급해 3300억 원 이상의 경제적 효과를 달성했다.
쌀 소비량이 급감하는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새로운 돌파구 전략으로 고품질 익산 쌀 간편식 시장 확대∙공급에 전력을 쏟으면서 기대이상의 성과를 거둬가고 있다.
쌀은 익산시 전체 농지의 78%를 차지할 정도로 가장 중요한 작목이다.
익산시 쌀 생산량 역시 전국 지자체 중 5위를 차지할 정도로 많다.
하지만 국민 1인당 쌀 소비량이 매년 감소하면서 익산 쌀의 판로 해법 모색은 심각한 지역사회 문제이자 이슈로 지적돼 왔다.
시는 이에 대한 해법을 찾던 중 핵가족화와 고령화, 저출산 등 현대사회 분위기가 변화하면서 간편식 시장이 매년 큰 폭으로 성장하고 있는 점에 주목했다.
특히 수년 동안 이어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집밥 선호가 늘어나며 밀키트와 즉석밥 등이 큰 인기를 끌었다.
이에 발맞춰 시는 기업 맞춤형 익산 쌀 생산단지 계약재배 면적을 늘려나가면서 간편식 시장 확대∙공급 전략 구사에 행정력을 집중했다.
실제 기업 맞춤형 익산 쌀 생산단지는 처음 시작된 2017년 총 재배면적이 1500㏊였으나 그 면적이 매년 10% 이상씩 증가했다.
그 결과 시는 CJ 햇반 원료곡 공급 지자체 1위를 차지했고, 하림과 본아이에프, 농협 식품 등과의 계약 면적도 매년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다.
내년에는 기업 맞춤형 익산 쌀 생산단지 규모를 여의도 면적의 15배인 4350㏊로 조성하고 4만 2000여톤의 원료곡을 생산할 계획이다.
이는 익산시 전체 쌀 생산량의 36% 규모로, 이를 통해 내년 한 해 680억 원의 경제적 효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함께 시는 수도권 학교급식에도 매진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 노원구와 은평구, 성북구, 서울시농수산식품공사 등 급식에 공급되고 있다.
지난 7월부터는 국내 제빵업계 1위인 SPC그룹(파리바게트)에도 납품되고 있다.
정헌율 익산시장은 "전국 쌀 소비시장이 갈수록 어려워지고 있지만 익산시는 값진 성과를 일궈내고 있다. 엄격한 품질관리와 치밀한 마케팅 전략을 통해 대기업과 급식시장에 대한 맞춤형 쌀 공급을 더더욱 확대해 나 가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