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급 직원들이 수행한 업무의 인센티브를 팀장이 독식하는 구조인 전북도청 ‘팀별 벤치마킹’과 ‘자율팀제’ 제도를 개선하라는 주문이 나왔다.
전북도의회 염영선 의원(민주당·정읍2)은 13일 열린 405회 정례회 5분 자유발언에서 “도청 개별 팀별로 아이디어를 제출해야 하는데 대다수 팀에서 하급 직원들이 관련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면서 “우수 아이디어 선정에 따른 인센티브는 팀장이 독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했다.
염 의원에 따르면 팀별 벤치마킹 제도란 전북특별자치도 출범을 앞두고 사무관급 팀장들이 타시도를 방문해 얻은 노하우를 도정 혁신 방안으로 제시하는 제도다. 시즌1에 268개, 시즌2에 323개 아이디어가 제출됐다.
또한 민선 8기 첫 조직개편을 통해 자율팀제를 도입, 성과중심의 책임행정 구현으로 인력 운영의 효율성을 높이기로 했지만 오히려 각종 부작용이 속출되고 있다. 부서면담과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제도 운영에 대해 응답자의 66.8%가 부정적이라고 답했고, 특히 5급이상 응답자의 99%가 자율팀제 축소를 원했다. 자율팀제 역시 응답자의 75.3%가 축소를 원한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염 의원은 “‘함께 혁신, 함께 성공, 새로운 전북’을 만들고자 하는 도지사의 이상에는 충분히 동의한다”면서 “하지만 조직의 단합과 화합없이는 변화와 혁신이라는 구호는 허명에 불과하다는 것을 분명히 말씀드린다”고 지적했다.
이어 “충분한 준비와 소통없이 일방통행식 제도 시행으로 조직쇄신이 아닌 조직원들의 소외감과 사기 저하만 초래했다”며 “팀별 벤치마킹과 자율팀장제 운영에 대한 깊은 고민과 획기적 개선이 필요하다는 점을 재차 촉구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