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의 '찾아가는 노동상담소'가 제대로 홍보되지 않아 근로자의 근무환경을 개선하고 양질의 일자리 조성을 위한 목적에 제대로 부합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지난 13일 열린 전주시의회 제406회 정례회 2023년도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최명권 의원(송천1동)은 이같은 내용을 지적하면서 목적에 맞는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적절한 예산 배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팔복공단에 찾아가는 노동상담소는 팔복공단 현장과 인근 공공기관 노동자를 비롯한 전주시민의 노동인권과 권리를 함양하기 위한 사업으로 지난 7월 시작된 사업이다.
기존에 시 산하 비정규직노동지원센터에서 운영해온 노동상담소의 역할을 확대하기 위해 팔복공단 현장에서 근무하는 비정규직 노동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방식의 이동상담소를 운영 중이다. 이 사업에는 민간경상사업보조 예산이 투입됐는데 홍보 예산의 비율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상황이다.
이 때문에 근로자들이 상담소의 존재를 잘 모르고, 상담실적도 덩달아 떨어지는 등 운영에 차질을 빚고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최 의원에 따르면 팔복공단협의회에 공단 업체 131곳, 근로자 3943명이 가입돼 있지만 홍보가 제대로 이뤄지지 않아 대다수 근로자들은 상담소의 존재조차 잘 알지 못하고 있는 상황인 것으로 알려졌다.
내년에 책정된 예산 3400만원 중 인건비가 85%로 거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남은 15%의 예산 만을 가지고 사업 운영과 홍보를 위한 업무에 사용해야 하는 상황이라 정상적인 상담소 운영이 이뤄질 수 있는지 의문이라는 게 최 의원의 설명이다.
그러면서 최 의원은 목적에 맞는 사업 추진을 위해서는 예산의 적절한 배분은 물론, 전문적인 노동·심리 상담을 진행할 역량을 갖춘 상담사가 필요하다는 제안도 했다.
최 의원은 "내년도 예산 계획을 보면 '찾아가는 노동상담소' 사업의 목적과 필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철저히 점검할 필요가 있다"며 "공단 노동자들에게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노동상담소로서 역할을 다하려면 무엇보다도 적절한 홍보활동이 매우 중요해보인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