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 이들은 누구란 말인가!
“운전을 잘못하는데, 이렇게 눈이 많이 오면 사람들이 토요걷기에 오지 못할 것 같아서 조심조심 왔어요” 흰 눈이 펑펑 쏟아지는 토요일 아침, 수줍게 웃으며 걷는 그녀.
비가 오는 토요일이면 함께 걷는 이가 있다. 그는 건축일을 한다. 그러고 보니 몇 번밖에 함께하지 못했다. 토요일에 비 오는 날은 드물었다.
명절 연휴 중 토요일이면 어김없이 오는 그녀들. 사람들이 명절이라 못 올까 봐 이럴 때라도 함께 하고 싶다고 한다.
일주일의 시작을 ‘토요걷기’로 두고 이를 삶의 양식으로 삼아 ‘진지화’하는 동무들.
대체 이들은 왜 토요일이면 계곡을 걷는 걸까!
이들은 숱한 장소상실의 고통을 겪으며 깊은 상처를 입었다. 이는 성장하느라 시골을 먹어 치운 도시 자본주의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자연을 대하는 모습에서 품위나 수치를 모르는 이들을 향해서는 단호하다. 그들의 제도와 관행이라는 테두리에 순응하길 원치 않기 때문이다. 그래서 마음속에 지키고 싶은 장소와 기억을 공유하며 연대할 수 있는 동무들을 찾아 신흥계곡을 걷는다. 자연을 사유화하려는 자들을 향해 맞서는 것에 두려워하지 않는다. 근대화가 제거한 흙과 바람을 찾아 걷는다. “상처 입은 자는 걷는다”(김영민)라고 하지 않던가!
얼마 전 때아닌 높은 기온이 며칠 계속되었다. 최악의 기후위기로 가는 시간이 얼마 남지 않은 것 같아 두려움마저 드는 토요걷기 중에 아주 불길한 경험을 했다. 마짐바위 근처의 계곡에서 악취가 공기와 섞여 콧속으로 훅 들어왔다. 깜짝 놀랐다. 마짐바위는 바위가 휘돌아가는 형국이어서 계곡물이 비교적 깊게 고여 있는 곳인데, 이처럼 심한 악취는 처음이었다. 이젠 영영 돌이킬 수 없게 되는 것일까! “풍경은 기원을 은폐한다.”(가라타니 고진)라는 말처럼 이 순간, 이 장소가 풍경이 되어버린다면, 어떻게 되는 것일까. 나무의 뿌리에서 샘솟아 상긋한 바람에 실려 지줄거리며 흘렀던 저 맑은 물은 우리 생명의 근원이었다. 그 긴 세월 동안 얼마나 많은 생명과 사람의 목숨 속에 파고들었는지 그 기원은 은폐되고 말 것이다. 그렇다면 우리는 인조 잔디밭처럼 깔린 해캄 위로 악취를 풍기며 흘러내리는 계곡물을 보며 차마 신흥계곡이라 말할 수 없다.
세찬 바람 탓에 흩어지며 내리는 진눈깨비가 계곡 위로 떨어진다. 신흥계곡의 불확실성을 걷기와 접맥시키려 여러 동무와 느리고 숙지게 버티며 걸어왔다. 남이 나서주길 기다리는 희망은 욕심일 뿐임을 아프게 배웠다. 보석처럼 투명하고 맑았던 계곡에 대한 그리움의 병을 앓고 있는 동무들은 2024년 계획을 세우고 있다. EM 진흙 공을 수백 개 만들어 신흥계곡에 던져보자고. 흐르는 물이라 효과가 미흡할 수 있겠지만 적어도 유익한 미생물이 만경강에 이르러서는 제구실을 하지 않겠냐고. 아, 그러고 보니 강을 나무에 비유한 이가 있었다. 만경강의 최상류에 있는 신흥계곡은 나무의 뿌리란다. 이 뿌리로부터 우뚝 서서 바람과 비를 맞으며 울창한 가지를 뻗어내어 마침내 건강한 만경강이라는 나무가 완성되는 것이라고 한다.
“진리는 시간의 딸”이라 하지 않던가. 자본의 욕망이 절대로 가질 수 없는 시간의 두께에 기대어 시민사회 운동이라 할만한 움직임을 발효시킨 것! 우리는 이를 기적이라 말한다. 신흥계곡에 가면 우리는 기적을 만난다.
“제 상처를 이루어 꿈이 되는 길”(권경인)
/이선애 농부∙완주자연지킴이연대 활동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