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지역을 대상으로 교육발전특구 공모를 실시하고 있다. 전북교육청과 전북도는 여기에 철저히 준비해 시범지역으로 지정되었으면 한다. 교육발전특구 지정이 경제가 피폐하고 인구가 줄어 들어 잔뜩 위축된 전북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장관과 우동기 지방시대위원장 등은 지난주 전북대를 방문해 '찾아가는 교육발전특구 설명회'를 가졌다. 이 자리에서 이들은 "지역인재들이 수도권에 블랙홀처럼 빨려 들어가고 있어 지역소멸 문제가 더 가속화되고 있다"며 "이를 되돌릴 수 있는 가장 중요한 방법은 교육을 다시 한 번 지역차원에서 발전시키고 격차를 좁히는 것이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교육발전특구에 대한 관심과 참여를 당부했다.
교육발전특구는 지역 유아부터 초·중등, 대학까지 양질의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지자체, 교육청, 대학, 지역기업, 지역 공공기관 등이 협력 지원하는 체제다. 특구에 선정되면 향후 3년간 30억∼100억 원을 지원 받는다. 1차 공모는 현재 진행 중이며 2차 공모는 내년 7월에 결정된다.
지방은 지금 호영남을 가릴 것 없이 소멸위기에 처해 있다. 모든 게 수도권으로 빨려 들어가고 있는 형국이다. 전국 국토의 10%밖에 되지 않는 수도권에 인구의 절반 이상이 거주하며 100대 기업 본사의 86%가 수도권에 위치하고 있다. 50년 전만해도 수도권 인구는 전국의 20% 선이었다. 더구나 전북은 2001년 이후 20년 간 청년(20∼34세) 순유출 규모는 22만6000명으로 전체 순유출의 92.1%를 차지했다. 이유는 일자리와 명문대 진학이다.
이번에 교육부가 들고 나온 교육발전특구는 교육을 발전시켜 지역소멸을 막겠다는 구상이다. 교육발전특구에 선정된 지역은 늘봄학교, 자율형 공립고, 디지털 교육혁신, 학교복합시설, 해외인재양성형 교육국제화특구 등 다양한 발전 모델을 만들어 가게 된다. 전북은 내년 1월 출범하는 특별자치도 특례에 케이팝(K-pop)국제학교 설립이 들어 있어 이와 연계를 검토했으면 한다.
그러나 문제는 결국 일자리로 귀착된다. 지역에서 특화된 중고교와 대학을 나왔다 해도 관련 일자리가 없으면 떠날 수 밖에 없어서다. 따라서 교육발전특구에 교육청과 행정은 물론 반드시 기업과 머리를 맞대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