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눈이 내린다. 목화솜 같은 함박눈이 수만 수천 개의 날개를 달고 하늘에서 내려와 겨울 풍경화를 그리며 겨울의 본 모습을 보여준다.
자연은 순수함과 진실함을 보여주기 위해서인지 계절의 끝자락에 하얀 눈꽃을 피운다.
첫눈이 내리면 달려가고 싶은 곳이 고향이다. 고향은 언제나 기억 속에서 아름답고, 고향은 기다려주는 사람이 없어도 영혼 깊숙이 밀려드는 영원한 향수다.
고향을 떠나온 사람만이 그리움을 안다. 코로나로 인해 삶에 지쳐있는 메마른 가슴을 적셔주려는 듯, 새하얀 눈이 소복소복 쌓이면서 마을이 고요하다. 손자와 함께 불렀던 '동요'가 떠오르기도 하고, 전방에서 군 복무 증인 두 손자의 모습이 펑펑 쏟아지는 함박눈 사이로 어른거린다.
영하 30도를 오르내리는 곳에서 군 복무를 하는 두 손자가 왠지 뇌리에서 떠나지 않아 새벽이면 교회로 달려가 두 손을 모은다.
이제는 내자신이 우리 아이들에게 고향이 되는 나이가 된 것 같다. 아들도 고향이 그리웠는지, 아들 내외가 첫눈을 맞으며 선물을 한 아름 않고 들어선다. 고향의 안방처럼 절절 끓는 아랫목은 아니지만, 거실 카펫에 깔아놓은 따뜻한 이불속에 발을 묻어주며, 그동안 가슴 가득 서렸던 정을 쏟아내며 이야기를 나누었다.
잠시 뒤 아들이 가지고 온 상자를 열더니 신발을 꺼낸다. 아버지, 어머니 눈길에 미끄러질까 봐 미끄럼방지 방한화를 구입했다며 신어보라고 한다. 신어보니 푹신하고 따뜻했다. 남편과 함께 신발을 신고 폴짝폴짝 뛰며 마치 어린아이처럼 기뻐했다.
아들이 어릴 때는 겨울이면 어린 아들이 미끄러질까 봐 걱정되어 새 신발을 사다 신겼는데, 어느 덧 세월이 흘러 이제는 아들이 부모가 염려되어 새 신발을 사왔다.
가족은 설렘과 감동을 주는 '첫 눈' 같은 사람들이다. 세월이 흐르 고 흘러도 언제나 희로애락을 같이하며 사는게 가족이다. 부모는 자녀걱정, 자녀는 부모걱정, 서로를 보듬어 주며 산다. 자식에게 부모 는 영원한 본향이다.
전방에서 근무하는 손자가 안쓰러워 걱정하던 차에 제 아빠가 며 칠 뒤에 휴가를 온다는 반가운 소식을 전해준다.
오늘같이 첫눈이 내리면, 손자는 마냥 좋아했다. 눈을 흠뻑 맞으며 손을 호호불면서도 눈사람을 만들어, 머리에 모자를 씌워주고 눈, 코, 입을 그려 화단 앞에 눈사람을 세워놓고 자신이 대견스러운 양 좋아했었다.
그렇게 놀다가 피곤하면 쓸어져 할머니 품에 얼굴을 묻 고 스르르 잠이 들던 손자! 그 손자가 내 가슴에서 이야기하는 소리 가 들려오는 것만 같다.
가족은 첫눈 같은 사람들이다.
△소종숙 수필가는 대한문학을 통해 등단했다. 전북문협, 행촌수필, 은빛수필문학회 회원으로 활동했으며 수필집으로 <가을을 그렸다>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