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전북의 인구가 감소하고 있지만 반대로 차량 수는 오히려 늘면서 극심한 교통체증뿐만 아닌 주차전쟁으로까지 번지고 있다.
이에 도로여건 확충은 제한적일수 밖에 없는 만큼, 차량 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행정차원의 대중교통 활성화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27일 국토교통부 통계누리에 따르면 최근 5년 간(2019∼2023) 전북지역 승용차 등록대수는 2019년 88만 1000대에서 올해 11월 기준 94만 9603대로 6만대 이상 급증했다.
같은기간 전북의 인구는 2019년 181만 명에서 올해 175만 명으로 6만 명이 감소한 것을 감안하면 차를 탈 사람은 줄어들었는데 차량은 그만큼 늘어난 셈이다.
이처럼 한정된 도로에 차량대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면서 해를 거듭할수록 도내 곳곳에서 극심한 출퇴근길 교통체증이 야기되고 있다.
매일 아침 전주시 백제대로를 이용해 출퇴근을 하는 임 모씨(38‧서신동)는 "평소같으면 차량으로 10분이면 가는 길이 출근 시간엔 1시간 넘게 걸리는 것 같다"며 "10년 전보다 차량 정체가 더 심해졌다. 사람보다 자동차가 더 많은 것 같다"고 토로했다.
여기에 주차대수 역시 그대로인 탓에 주차 관련 문제도 매년 심각해지고 있다.
전주시의 경우 최근 3년 간(2021∼2023) 차량수가 1만 여대 이상 늘어나면서 시내 아파트나 주택가 주차장에서 시민들간 주차전쟁이 벌어지고 있다.
이를 일부 해소할 공영주차장의 경우 막대한 토지 매입 비용으로 인한 예산 문제가 겹쳐 확보에 애를 먹고 있다. 전주시의 공영주차장 주차면수는 지난 2021년 8426면에서 올해 8507면으로 0.9% 증가하는데 그쳤다.
문제는 차량수 감소를 위한 근본적 해결책중 하나라 할 수 있는 대중교통 활성화도 미진하다는 점이다.
국토교통부 통계누리를 보면, 지난해 전북 도민의 1주간 대중교통이용횟수는 평균 7.95회로 17개 광역자치단체 중 14번째로 낮았다. 가장 높은 서울(9.86)의 81% 수준이다.
전북의 하루 평균(평일) 대중교통 이용자 수도 지난 2018년 11만 8446명에서 지난해 9만 8930명으로 1만 9516명 감소한 것으로 집계됐다.
여기에 지난해 8월 택시비 인상과 앞서 2021년 시내버스 요금인상은 도민들의 자가용을 제외한 교통수단 이용 요인을 줄어들게 하거나 외면을 더욱 부추기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급행, 간선버스 노선을 확충하는 등 교통체계 개선을 넘어 무상교통 정책 등 교통요금 부담 완화를 통해 대중교통 이용률을 늘리는데 다양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한국교통연구원 관계자는 "세계적으로 대중교통 활성화를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며 "홍콩의 경우 시내버스와 지하철 요금이 저렴하고 거의 24시간 운영될 정도로 접근성이 좋아 자가용보다 활용도가 높다. 국내도 대중교통 인프라를 개선하고 교통비 지원을 확대해야 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