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동치는 정치권, 전북 총선 영향은?

국힘 한동훈 7080전면에 586개혁 시사
민주당 공천시비 벌써부터
계파간 갈등 역대 최대치
보수 진보 모두 큰 변화 불가피
전북 일부 선거구 전략공천설까지 분분
전북정치 대진표 변화 가능성까지

내년 4월 22대 총선을 앞두고 여의도 정가가 요동치면서 전북 총선판이 예측불허의 상황으로 흘러가고 있다.

특히 선거제와 선거구가 확정되지 않은 채 2023년을 마무리하게 되면서 전북 총선 대진표 역시 변화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된다.

국민의힘 한동훈 비상대책위원회 출범은 한국 정치판에 ‘586정치 일선 후퇴’라는 메시지를 던졌다. 

한 비대위원장이 비대위원 인사에 20~40대를 전면 배치한 것도 이와 무관치 않다. 그가 영남 기득권을 가지고 있는 현역 의원들의 쇄신을 요구하며 전면 수술에 나설 것이란 관측도 힘을 얻고 있다.

여권 내 가장 유력한 대선 주자로 떠오른 한 비대위원장이 22대 총선에서 비례대표나 지역구를 포기한 이유도 당내 기득권 인사들의 자진 퇴진을 종용한 것으로 분석된다.

22대 국회에 입성해 4년 간 국회의원으로 지위가 보장되는 길을 스스로 물리친 선택을 한 배경도 사령탑인 한 비대위원장 스스로가 명분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만약 한 비대위원장이 국민의힘 영남 중진 및 현역 의원 물갈이에 성공하면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도 586 기득권론에 대응할 카드를 찾을 수밖에 없다.

이럴 경우 586 운동권이 주축인 전북 정치권은 당장 그 사정권 안에 들어오게 된다. 

이준석 신당으로 불거지는 보수의 분화, 이낙연과 정세균·김부겸 '문재인 정부 3총리'로 대변되는 진보의 분화가 미칠 영향에도 촉각이 모아진다.

이들의 신당이나 계파 갈등이 전북정치판에 직접적인 구도 변화를 가져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다만 민주당 지도부의 결정에 따라 운명이 결정되는 전북정치 특성상 당의 개혁 방향에 따라 공천 판도가 현저히 달라질 수 있다. 

전북정치권은 물론 중앙당 내부에서까지 민주당 공천파행과 이로 인한 후폭풍 우려가 커지는 것도 주목해야 할 요인이다.

민주당은 원칙적으로 공천과 관련한 중앙당 차원의 여론조사에서 ‘노무현 재단’을 비롯 문재인 대통령, 이재명 대표의 이름이 표기된 직함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 한마디로 계파나 지도부와 친소관계를 활용한 마케팅을 자제하라는 것이다. 그런데도 최근 ‘호남 친명 리스트’가 당을 뜨겁게 달구면서 지역 정치권 내부가 시끄럽다. 일부에선 ‘해당 행위’를 거론하고 있기도 하다.

전북 도내 일부 선거구의 전략공천설까지 내년 총선판을 달구면서 그 결과에 따라 지역정치권의 합종연횡 구도도 완전히 변할 수 있다. 도내 일부 선거구의 전략공천 대상으로는 전북출신 청년 정치인부터, 반윤석열 성향의 현직 검사, 전직 군인까지 다양하게 거론되고 있다.

현역들에게 너무 안전한 수준의 총선 대진표 역시 반전 요소로 꼽힌다. 중진 출신과 현역이 맞붙는 전주병, 익산갑, 정읍·고창 등 아주 일부를 제외하면 현재 전북 총선 대진 구도는 너무 평이하다는 평가다. 특히 현역이 인지도나 조직적 측면에서 크게 유리한 고지를 점하면서 ‘호남 공천’을 고민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다.

국회의원과 광역단체장 공천은 중앙당에서 거의 전적으로 결정하는 구조인 것은 지난 8회 지방선거 결과만 봐도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이다. 아무리 여론조사 결과가 압도적이어도 당 대표의 판단이나 중앙당의 논의에 따라 컷오프가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얘기다.

실제 2022년 마지막 지선 여론조사에서 선두를 달렸던 송하진 전 전북도지사는 재지지율을 이유로 공천에서 배제당해 경선을 치르지도 못했다. 한마디로 여론조사 1위를 달리고 있는 현역 의원들에게도 같은 논리가 적용될 수 있다는 의미다.

지역구도 현행 지역구가 유지될 가능성이 0%인 만큼 선거제 논의가 끝나고 나서야 그 윤곽이 결정될 것으로 관측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