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소비자물가지수가 또 3%를 넘어서면서 2년 연속 '고물가'가 이어지고 있다. 물가 상승률이 2년째 3%를 넘어선 것은 지난 2010년, 2011년 각각 3.3%, 4.4%를 기록한 이후 12년 만에 처음이다.
2012년부터 2020년까지는 정부가 물가 안정 목표치로 간주하는 2%를 넘어서지 않았다. 지난 2021년에 전년 대비 2.6% 상승한 후 2022년에는 5%, 지난해는 3%까지 넘어섰다. 특히 지난해는 소비자물가지수보다 생활물가·신선식품지수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나면서 체감 물가 부담을 증명했다.
지난해 전북지역 소비자물가지수는 전년 대비 3.3% 상승했다. 체감 물가에 해당하는 생활·신선식품지수는 각각 3.6%, 7.9%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1일 통계청 전주사무소가 발표한 2023년 12월·연간 전라북도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품목성질별로 농축수산물(4.8%), 공업제품(2.0%), 전기·가스·수도(19.0%), 서비스(2.8%) 등 전 품목에서 소비자물가 상승세를 주도했다.
농축수산물은 폭염·폭우를 비롯해 때늦은 추위·폭설이 몰아치면서 사과, 귤 등의 가격이 치솟았다. 사과는 전년과 비교해 29.5%, 귤은 27.3% 올랐다.
전기·가스·수도의 상승률은 무려 19%로 나타났다. 전기료는 22.6%, 도시가스는 20.9%, 지역난방비는 27.4%, 상수도료는 0.1% 오르는 등 공공요금 부담이 컸다.
급격한 물가 인상에 따라 정부에서 공공요금 인상을 최대한 억제했지만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 공기업 재무상황 악화 등으로 인상이 불가피해지면서 큰 영향을 받았다.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이 큰 폭으로 오르면서 지난해 물가 상승을 견인했다.
전북지역 소비자물가지수뿐만 아니라 전국 소비자물가지수도 3.6% 상승하며 19년 만에 2년 연속 3% 이상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전북지역과 마찬가지로 전기·가스·수도 등 공공요금 인상 영향이 가장 컸다. 품목성질별로는 농축수산물 3.1%, 공업제품은 2.6%, 전기·가스·수도는 20.0%, 서비스는 3.3%의 상승률을 보였다.
김보경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2022년에는 석유류가 연간 22.2% 올라서 크게 상승하는 데 기여한 반면 지난해에는 반대로 11.1% 내리면서 물가 상승률 둔화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전반적으로 전기·가스·수도를 제외하고는 지난 2022년에 비해서 지난해 상승률이 많이 둔화됐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