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렴도 낙제점에 고개 숙인 군산시의회

시의회 “결과 무겁게 받아들이고 뼈를 깎는 혁신 나설 터”
청렴문화 조성 위해 공무원 상호 존중 등 4개항 선언‧추진

군산시의회 전경. /사진제공=군산시의회

“뼈를 깎는 혁신으로 시민의 신뢰를 회복할 수 있도록 하겠다.”

군산시의회가 최근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낙제 수준 결과를 받은 것과 관련해 고개를 숙였다.

군산시의회는 10일 보도자료를 통해 “국민권익위원회가 발표한 지방의회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를 무겁게 받아들이고, 혁신과 변화를 통해 투명하고 공정한 의정활동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앞서 국민권익위원회 지방의회 청렴도 평가에 따르면 군산시의회는 '청렴노력도'에서 전체 5등급 중 3등급을 받았지만 '청렴체감도'에서는 최하위(5등급)에 그쳐 종합청렴도 4등급에 머물렀다.

특히 군산시 공무원과 외부민원인, 의회사무국 직원 등이 시의회 의정활동에 대한 부패경험률은 37.21%로, 전국 75곳 기초의회 중 안성시의회(38.16%)에 이어 두 번째이며 도내에서는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는 전국 부패경험률 평균 16.92%에 비해서도 월등히 높은 수치여서 향후 의정활동 과정에서 갑질‧부패‧도덕불감증 등의 부정적 여론을 해소하기 위한 자정노력 등 특단의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잇따랐다.

실제 참여자치 군산시민연대는 "군산시의회가 갑질 및 부당한 관여(계약‧인사‧금품요구)에 대해 스스로 돌아보고 청렴도 개선을 위한 내부적인 반부패 노력 계획 및 행동을 보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내기도 했다.

이날 종합청렴도 평가에 대해 공식적인 입장을 밝힌 시의회는 “청렴체감도 부문 공무원(직무관계자) 평가에서 낮은 점수를 받았다”며 “공무원들이 체감했을 때 의원 및 의회의 갑질 행위와 부당한 요구 및 지시, 위법 부당한 방법을 통한 사익 추구 등이 있었다”고 반성했다.

이어 행정사무감사 및 민원해소 등 의정활동을 적극적으로 수행할수록 고압적으로 비춰지거나 자료요구가 과다하게 느껴질 수 있다는 점도 인정했다.

시의회는 “의정활동 외 부분에 있어 공무원들이 의원들의 갑질 및 위법 부당한 행위로 피해 보는 일이 없도록 혁신할 것”이라며 “공직자 역시 어떠한 압력에도 흔들림 없이 적법하고 공정하게 예산을 집행해 달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시의회는 앞으로 청렴문화 조성을 위해 △부패 없는 청렴한 정치를 할 것 △집행부 공무원에 대한 상호 존중의 자세를 확립할 것 △의정활동을 정치적인 도구로 활용하지 않도록 할 것 △ 말보다 실천하는 군산시의회가 될 것 등 4가지를 선언했다.

김영일 의장은 “그 동안 의혹이 제기된 보조금 등의 경우 감사 등을 통해 철저히 조사하고 엄격한 조치를 취할 것을 집행부에 요구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의원들의 비위행위나 이해충돌·위반 등이 드러나면 의회 차원의 윤리특별위원회 등을 통해 단호하고 엄중하게 처리해 의회 명예가 실추되지 않도록 하겠다”며 "여기에 4가지 선언을 바탕으로  청렴한 의회로 대전환을 이뤄나가겠다"고 강조했다.